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스페셜
"
성층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05.23
0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로 파장대가 다양합니다. 그보다 파장이 짧은 빛은 대부분
성층
권에 위치한 오존층에 흡수돼 버립니다. 사람이 볼 수 있는 빛은 보라색부터 빨간색까지 흔히 무지개의 일곱 색으로 대표되는 가시광선 영역(380~750nm)입니다. 이 중에서도 약 500nm 이하의 파장을 가진 ... ...
우주에서 수제맥주 광고 영상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투자 문제로 우선 국내에서 관심이 커지기 시작한 수제 맥주를 아이템으로 창업했다.
성층
권에서 바라본 지구. 더쎄를라잇브루잉 제공. 마케팅 프로젝트 기획은 더쎄를라잇브루잉이 맡는다. 엔지니어링과 기술 설계는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담당한다.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는 헬륨 풍선 ... ...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책임자는 “남극 대륙의 갑작스러운
성층
권 온난화가 기후 조건을 바꿔 놓았다”며 “
성층
권 온난화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 내륙에서 해안 쪽에서 계속 불게 했고 이는 해안 근처에 산불이 날 확률을 높였다”고 말했다.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은 호주 수목의 특징도 산불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 ...
올해 남극 오존구멍 30년來 가장 작은 해 될 듯
연합뉴스
l
2019.09.18
분자로 태양에서 나오는 유해 자외선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약 20~30㎞ 높이의
성층
권에서 끊임없이 생성되고 파괴되는데, 오염되지 않은 대기에서는 생성과 파괴가 균형을 이루지만 염소(chlorine)와 브롬(bromine)이 포함된 화학물질이 방출되면서 균형이 깨져 오존구멍이 커지는 결과로 나타난다. ... ...
우주여행 다녀온 햄버거…맛은 ‘매우 딱딱’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못했다는 것이다.
성층
권은 지구 대기권의 두번째 층으로 대류권과 중간권 사이에 있다.
성층
권의 오존은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지구를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은 한다. 우주여행을 다녀온 햄버거보다는 ‘오존층’에 다녀온 햄버거가 맞다는 지적이다. 스탄닐란드씨는 “사람들이 우주에 여러 ... ...
성층
권에 탄산칼슘 뿌려 햇빛 차단...올여름 지구온난화 방지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IPCC)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지구 온난화 1.5도’ 보고서는 비행기를 통해 황산화물을
성층
권에 뿌려 지구 온도를 1.5도를 낮추는 데 드는 비용은 매년 10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100분의 1의 최소비용으로 기후변화를 막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미 국제사회는 지구공학에 대한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슈퍼화산’으로 경고하는 이유다. 화산폭발지수 5의 분화가 생기면 화산재는 10km 위
성층
권까지 올라갔다가 함경도 쪽으로 향한다. 약 300만 명의 함경도 주민은 전기가 끊긴 암흑 속에서 살게 된다.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이 견디기 어려운 수준의 재난 상황에 처하게 되는 셈이다. 남북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일을 하는지 규명해보기로 했다. 박사후연구원 마리오 몰리나와 연구를 시작한 롤런드는
성층
권에 도달한 CFC가 자외선으로 쪼개져 염소가 생기고 시세론과 스톨라르스키가 제안한 것처럼 오존층을 파괴함을 입증했다. 이들은 이 결과를 1974년 ‘네이처’에 발표했고 언론에도 알려 위험성을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게다가 해수가 있는 상태에서 담수가 들어오다 보니 염분에 의한 농도 차이로 물에
성층
이 생겼는데 여름에 특히 이런 현상이 뚜렷하였다. 아래쪽에는 무거운 해수가 고이고 그 위로 가벼운 담수가 올라앉아 물이 섞이지 않고 제자리에 고인 채로 있었던 것이다. 당연히 공기 중의 산소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지구물리 데이터를 측정하는 임무를 수행했는데, 1980년대 초 남극 핼리만(Halley bay) 상공
성층
권에서 측정한 오존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낮다는 걸 발견했다. 파먼과 동료들은 측정오차를 비롯한 모든 가능성을 조사하며 반복해서 데이터를 얻었지만 결과는 같았다. 결국 파먼은 프레온의 분해산물이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