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선정"(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재생에너지를 위한 정책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낮췄다.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제도에서 물량 중 100kW 미만 소규모 사업자를 우선 선정하는 비중을 30%에서 최대 50%까지 높였다. 이외에도 신재생에너지 설비인증을 KS인증으로 통합하고,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신고제도와 건축물 인증제도를 폐지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제도의 수정을 통해 ... ...
- 친환경 에너지 미니카 경주하며 환경의식 키워요~동아사이언스 l2015.10.22
- 미션우수상(3팀), 스피드상(2팀), 아이디어상(2팀), 사이언스상(2팀), 디자인상(2팀)이 선정됐다. 김종갑 한국지멘스 대표는 “아이들이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올바른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한 대회”라는 말로 지멘스그린스쿨 올림피아드를 소개하며, “대한민국의 미래인 아이들이 ... ...
- [keyword로 읽는 과학] 살랑바람에도 온몸이 욱신욱신! 대상포진이 너무해KISTI l2015.10.11
- 홈페이지 내 독자참여-주제제안 란, 또는 댓글로 알고 싶은 키워드를 남겨 주시면 선정 후 기사로 제작할 예정입니다. 과학향기 독자 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겨울철, 감기 몸살인 줄 알고 병원을 찾았다가 대상포진 진단을 받는 사람이 많다. 최근 5년 대상포진 환자 수는 매년 약 2~3만 ... ...
- 에너낙, 세계 최대 수요관리기업의 한국 진출기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에너낙과 함께 협력하면서 미국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쓰고 있는 교육청으로 선정됐다고 해요.” 에너낙이 제공한 서비스로 각 학교들이 전력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 분석했고, 다른 곳에 비해 전력을 너무 많이 쓰고 있는 학교의 전력사용에 대해 분석했다. 실제로 문제점을 발견해 에너지 ... ...
- 네가와트 시대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수요반응 분야의 글로벌 선도업체인 에너낙은 서울시의 입찰을 통해 수요반응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에너낙은 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에서 수요반응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서울시 16개 시설을 국내 전력시장에 등록해 최적화된 수요반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는 연중 계통전력 ...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1화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2
- 중립적인 정보로 받아들인다. 스툭은 조금 더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기도 하는데, 부지 선정 과정에서 지역주민들과 소통하는 창구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스툭은 어떤 방향도 제시하지 않고 철저하게 중립적인 정보제공자 입장에 충실했다고 한다. 스툭 관계자에 따르면 스툭은 원자력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는 2014년 ‘출연연구기관 10대 우수연구성과’ 중 하나로 선정됐다. 연구진은 2012년 햇빛과 이산화탄소로 이미 개미산과 의약품 원료인 알릴알코올allyl alcohol을 만든 바 있다. 제조과정은 메탄올 경우와 거의 같다. 태양광반응장치에 이산화탄소와 효소를 넣는데, 이 장치에 ... ...
- 원자력발전, 유럽의 새로운 고민과 움직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12
- 선정했으며, 현재는 취리히 노르드오스트와 주라오스트 2곳으로 후보지를 압축했다. 선정기준은 지질학적인 안전성, 암반 생성 환경, 장기적인 안전성, 건설 적합도의 4가지로, 최종 후보지를 결정하기까지는 아직 10년은 더 걸릴 전망이다. 최종 처분장 결정을 위한 국민투표는 2027년쯤 가능할 ... ...
- 안전한 미래를 위한 제4세대 원자력발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05
-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하는 초고온가스로(VHTR)는 제4세대 미래원자력시스템 국제포럼이 선정한 6개 신개념 원자로(가스냉각고속로, 납냉각고속로, 소듐냉각고속로, 용융염로, 초고온가스로, 초임계수냉각로) 중에서 가장 안전하고 경제성도 뛰어난 원자력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연현상인 ... ...
-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②]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자세히 들여다보기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22
- 운영해야 함을 강조하며, 2020년까지 URL(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지하실험 시설) 부지를 선정해 2030년부터는 실증적 사용후핵연료 연구를 시작할 것을 요구했다. 권고안에 따르면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설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2020년부터는 URL 부지에 ‘처분 전 보관시설’을 건설해야 하고, 그렇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