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통상
무역
사업
교역
거래
고등학교
스페셜
"
상업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Green Economy_기업인사이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으로 바꾸다! 그린폴
동아사이언스
l
2014.11.19
모색했다”며 “이산화탄소로 새로운 폴리머를 만들 수 있다는 점과 국내에서 개발한
상업
화 가능 촉매가 있다는 점은 굉장히 매력적인 조건이었다”고 말했다. 기존 플라스틱보다 장점 많아 이산화탄소 폴리머인 그린폴을 연구하고 있는 SK이노베이션 기술원의 한 연구원. - SK이노베이션 제공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원자 구조의 대칭성을 보여주는 거울 면이다. 스핀트로닉스는 새로운 '방법'이므로
상업
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의 실리콘 기판에 적용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문제는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부도체 삽입이나 o자형 홈을 만드는 일이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현재도 o자형 홈을 만드는 기술은 곡예에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문화외교적 측면의 진출이라 할 수 있다. 해외 출판사가 '
상업
성'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으로 판권을 구입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년 전부터 생겨난 현상이다. 처음으로 영미권에서 한국 문학의 확장가능성을 보여준 작가는 신경숙이다. 2011년 초판 10만부를 찍은 『엄마를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2단계(2012~2014년)에서 이를 검증하고 3단계(2015~2018년)에서 미세조류 바이오연료를
상업
화하게 된다. 현재 연구단이 자연에서 분리한 균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 2종류가 있다. 양 단장은 “북극에서 분리한 균주 ‘극지 클로렐라’와 국내에서 발굴한 에뜰리아(Ettlia)가 빨리 자라고 기름 함량이 ... ...
[Green Economy 기업 인사이드] 바이오부탄올 국내 기술로 양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긍정적으로 검토해서 쓰지 않을까요.” 신 팀장은 빠르면 4년 내에 GS칼텍스
상업
공장에서 바이오부탄올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건설기간 약 2년까지 포함해서다. 그 이후에는 기술 수출도 생각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화학공정이나 바이오공정으로 기술을 수출한 사례가 없습니다. 이 ... ...
비전통자원, 셰일가스와 가스 하이드레이트
2014.09.15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캐나다와 일본에서 소규모 시험생산에 성공했으나 아직
상업
적 생산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산에도 단점은 있다. 심해저에 부존해 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해저면에서 천부에(수백 미터 내외) 매장돼 있는데, 생산시 수반될 지반 안정성 ... ...
[Green Lab
동아사이언스
l
2014.08.27
궁극적으로 2년 이내에 1MWh급 전지의 실증완료를 목표하고 있다. 2년 정도 실증하면
상업
화가 가능한 실증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실증 기간 내에 모든 제조설비의 구축과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끝으로 RFB 시장의 전망을 묻는 질문에 강태혁 의원은 다양한 ESS가 용도에 맞게 ... ...
[Green Community
동아사이언스
l
2014.08.27
소비량의 약 21%에 해당한다. 또 전 세계적으로도 에너지 사용량 가운데 약 36%가 주거 및
상업
용 건물에서 쓰이고 있다. 만약 우리나라나 전 세계의 모든 주택을 패시브 하우스로 만들게 된다면, 대체 에너지원의 발굴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의 배출도 ... ...
화석연료의 변신,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동아사이언스
l
2014.08.25
단지 구축을 제안한 상태다. [그림 1] 태안에서 시운전 중인 태안 IGCC 조감도. 2015년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진 출처 : 서부발전 IGCC가 청정석탄기술로 불리는 이유 IGCC발전소 설립에 많은 비용이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③] 땅속의 무한 에너지, 지열
동아사이언스
l
2014.08.04
또한 세계적으로 지열의 이용이 급속하게 확대된 계기가 됐다. 라데렐로의 발전은
상업
적으로도 성공을 거둬 1942년에는 12만7,650kWe의 생산용량을 갖췄다. 이탈리아의 이러한 성공을 거울삼아 다른 나라에서도 발전을 위한 움직임이 뒤따랐다. 201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10.7GWe의 지열발전소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