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스페셜
"
상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
KISTI
l
2014.03.14
예
상
된단다. 지금도 전체 인류의 6분의 1이 굶주리고 있는데 20억 명이나 늘어나면 훨씬
상
황이 심각해지겠지? 그렇다고 경작지를 넓힐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설사 넓힐 수 있다 해도 고품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구할 방법은 막막하거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곤충을 길러 먹자고 제안한 거란다 ... ...
산기협, 2014년도 기술경영인
상
수
상
자 선정
KOITA
l
2014.02.25
2014년도 기술경영인
상
수
상
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가 선정하는「2014년도 기술경영인
상
」의 CTO부문 ...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기업대표에게 연구소장 부문은 연구생산성과 효율성 향
상
으로 기업성장에 기여한 기업부설연구소 소장에게 수여된다 ... ...
잊을만하면 찾아오는 조류독감, 그 이유는?
KISTI
l
2014.02.04
한번 유행할 때마다 수십만 마리씩 떼죽음 당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접하고 있다. 이런
상
황 에서도 과연 ‘경제적 효율’을 위해 공장식 축산 시스템이 정말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지 숙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침투하기 쉽지만, 체온이 너무 낮아서 질병으로 발전하는 것 역시 힘들단다. 그러다 각성
상
태가 되면 체온이 오르면서 급격히 면역체계가 가동되고 바이러스와 병원균도 한꺼번에 물리치지. 우주여행자가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워질 방법 역시 겨울잠이라는 얘기가 돼.” “잠시만요~ 태연이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
KISTI
l
2014.01.16
LED 불빛 아래 서면 영화 한 편을 모바일 메신저 한 글자처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세
상
이 온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의 합작벤처인 ‘초병렬 가시광통신 프로젝 ...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조명과 통신이 융합된 새로운 세
상
이 열릴 것이다. ... ...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디지털 카메라까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1
예
상
하지 못했을 것이다. 새로운 발명은 항
상
목표하는 대로만 이뤄지지 않고 예
상
을 뛰어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앞으로 CCD가 어떻게 활약할지 자못 궁금하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행복 동감 11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산업을 변화시킨 주역, 복사기의 탄생
KISTI
l
2013.12.10
등장한 이후부터 업무환경이 근본적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기업들은 더 이
상
엄청난 숫자의 타자수를 유지할 이유가 없었으며 몇 장 필요하지도 않은 인쇄물을 얻으려고 거추장스러운 윤전기를 가동할 필요도 없었다. 거의 훈련받지 않은 사람들도 아주 쉽게 문서를 여러 장 복제해낼 수 있었을 ... ...
노벨 과학
상
,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에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우리나라도 노벨 과학
상
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행복 동감 11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카피플로(Copyflo)’를 제작하여 성공적으로 육군 등 정부기관에 납품했다. 기기의 성격
상
정부에서나 운영 가능한 수준의 제품이었고 판매수량도 적었지만 일단 판매된 카피플로는 엄청난 가동률을 자랑했다. 정부기관은 쉴 새 없이 복사기를 돌려댔고 1956년, 할로이드의 수입 중 40%가 카피플로의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특정 조건에서 트리졸이 RNA를 제대로 추출해내지 못한 것입니다. 결국 트리졸이 정
상
적으로 RNA를 추출했다는 잘못된 전제 때문에 틀린 결론을 이끌어냈으니 이를 정정해야 했습니다. 논문철회는 어려운 결정이기는 합니다. 논문철회는 저자가 이전 논문에서 오류를 발견했을 때 스스로 하기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