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부제"(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IBS l2016.02.29
- 요리'다. 2008년부터 정식 커리큘럼으로 개설된 동명 강의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수업의 부제 '최고급 요리에서 연성물질 과학까지(From Haute Cuisine to Soft Matter Science)'에서 보듯이, 물질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다양한 조리과정을 통해 보여주는 수업이다. 과일 젤리를 만들기 위해 과일주스를 113도까지 ...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2015.11.09
- 제공 최근 이덕희 교수가 ‘호메시스’란 책을 펴냈다. ‘건강과 질병의 블랙박스’라는 부제에서 짐작하듯이 건강과 질병에 대한 기존의 의학상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을 주를 이루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필자는 이 책의 제목을 보고 호메시스가 호메오스타시스(homeostasis) 즉 항상성의 ...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2015.08.10
- 70억 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 공동소유 집(지구)을 보살펴야 한다’는 부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번 회칙은 종교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후변화와 환경을 중심으로 인류가 직면한 위기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회칙은 8개 언어 버전이 있는데 ...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5.29
- 세계적인 유명세를 얻은 마블의 코믹스, X맨은 첫 연재 당시 ‘Children of atom'이란 부제가 붙어 있었다. 1960년대를 전후하여 창작물에서 원자력은 에너지원 뿐 아니라 초능력의 원인으로도 종종 활용됐다. 슈퍼 영웅, 슈퍼 로봇 원자력과 방사능에 대해 SF에서는 색다른 접근도 등장했다. 방사선으로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나타날 수 없다. 적어도 이는 진핵생물만의 독특한 특성이다”라고 쓰고 있다. 이 책의 부제는 ‘진화의 10대 발명’으로 1장 ‘생명의 기원’이 ‘생명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 것이라면 9장 ‘의식’은 ‘의식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통찰을 주고 있다. 그 ...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2014.12.15
- 다룬 책임을 직감했다. 그런데 책 제목이 ‘Proof’로 좀 추상적이다. ‘증명이라...’ 부제는 봐도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the science of booze, 부즈가 뭐야?’ 효모에서 숙취까지 술에 관련된 모든 현상을 과학의 관점에서 해석한 책 ‘프루프’. 아마존의 ‘편집자가 뽑은 2014년 책’ ...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2.11
- 가이드』라는 책도 유행했다. '살아있는 시체들 속에서 살아남기 완전공략'이라는 부제를 단 이 책은『월드워 Z』의 작가 맥스 브룩스가 썼다. 농담 같은 제목의 이 책은 좀비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물론이고, 재난 시에 필요한 각종 도구, 피난 요령, 공격과 방어 방법 외에도 6만 년 전 ...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2014.12.01
- 08년 3월호 ‘과학동아’에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이란 기사를 썼는데, 부제가 ‘눈치코치는 기본, 감수성에 모방학습까지 관여’였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의 인지과학자 그레고리 힉콕 교수는 지난 8월 출간한 ‘거울뉴런의 신화’에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2014.10.27
- 다양한 영향을 미쳤고 그 가운데 하나가 키가 커지는 현상이라는 것.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이다. 최근 번역출간된 책 ‘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에서 미국 뉴욕대 마틴 블레이저 교수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인류에게 나타난 현상인 급속한 ...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동아사이언스 l2014.01.27
- 과거보다는 현재에 더 초점을 맞췄다. 기사 제목도 ‘두 번째 활약(The Second Act)’이고 부제도 “첫 번째 등장이 스캔들로 끝난 뒤, 황우석은 조용히 과학 경력을 다시 쌓아올리고 있다”로 그가 수암생명공학연구원에서 진행해온 일들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사실 필자는 사건 뒤 황 교수와 관련된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