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스페셜
"
바이러스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바일 가짜 백신, 안드로이드 사용자 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4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됐다는 거짓 검사결과를 통보해 이용자들이 존재하지도 않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유료 결제를 하도록 유도한다. 감염 메시지는 결제가 이루어지거나 악성 프로그램이 삭제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컴퓨터 화면에 팝업창으로 표시된다. 이 같은 가짜 백신 사기는 주로 ... ...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주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뛰어나 비강에 분무하는 방식으로도 점막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실제 생쥐에
바이러스
항원만 주입한 경우 6시간 내에 사라졌지만, 나노마이셀과 함께 주입된 항원은 12시간이 지나도 비강에 남아 있었다. 투과성과 부착력은 나노마이셀 표면으로 노출되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특정 기능기 ... ...
세포 공장 만드는 '바이오디자인'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6.07
색안경을 끼고 본다면 무척 위험한 기술일 수 있다. 인류에 해가 되는 균주나
바이러스
로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로 악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언제나 어두운 부분을 지적하는 논란이 일게 마련"이라며 "자동차가 삶에 편의를 주었지만 사고 위험이 언제나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이빨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접촉하는 박테리아를 물어뜯고, 표면의 은 나노입자와 이온이
바이러스
를 흡착하여 치명적 효과를 주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KIST 우경자 박사는“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구조의 나노복합 소재를 개발해 원천기술 확보와 그린환경 구축, 삶의 질 향상의 ... ...
질내균총과 자궁경부암 상관관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것으로 함께 규명하였다. 고광표 교수는 “질내균총 변화의 발견을 통해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과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는 병인규명과 진단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현대인, 하루 70% 이상 실내 생활…新 공기정화법
KISTI
l
2013.05.06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항균 물질을 에어필터 표면에 도포해 집진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를 멸균하는 항균 기술이 있다. 자외선을 이용해 미생물을 광멸균하는 방식도 있다. 이 연구는 미국에서 특히 주목받는다. 미국 신시내티대 메디컬센터의 ‘건강관련 미세먼지 연구센터’에서는 ... ...
채식의 배신? 가공식품의 배신!
KISTI
l
2013.05.06
때문에 가능한 적게 요리한 자연 상태의 식물성 식품을 먹으면 감기를 비롯한 다른
바이러스
에 대해서도 매우 강한 저항력을 키울 수 있다. 또 아무리 좋은 음식을 먹었다 하더라도 잠이 부족하면 감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반론 3] 채식으로 생리가 끊어졌다? ... ...
사회이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사회적 기능은 크게 부각되지 못했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겨울철에도 노로
바이러스
등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급격히 증가하여 매년 1조 3천억원의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물이 오염 되었는지 사전에 신속히 확인하는 것이 가장 ... ...
인간이 불안한 이유, 빛으로 찾아내다
KISTI
l
2013.05.02
유전공학 기술로
바이러스
를 활용해 이 단백질을 유전자의 형태로 신경세포에 주입하면
바이러스
가 세포 속으로 들어가 채널로돕신 유전자를 밀어 넣게 된다. 광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이미 꾸준히 진행돼 왔다.2012년 11월 기초과학연구원(IBS) 신희섭 단장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수면방추가 ... ...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을 개발했다. 슈퍼렌즈는 100nm 크기의 세포내 구조와
바이러스
등을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광통신, 최첨단 반도체 공정 등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와 조용훈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