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스페셜
"
못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나란히 의대 입학...수학 상위 1%의 비밀무기는
수학동아
l
2023.04.22
동우가 어떻게 푸는지 보면 감이 잡히거든요." 김동우 "둘 다 고민을 많이 했는데도
못
푸는 진짜 어려운 문제도 있어요. 그때는 칠판에 써놓고 함께 풀어요." 권태영 "각자 분필을 잡고 생각날 때마다 풀이를 써나갔어요. 칠판에 적어 놓고 한 시간 동안 매달려서 겨우 푼 문제도 있어요. 그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기월식 달빛에 담긴 화산 폭발의 흔적
2023.04.19
도달하는 광량이 줄어 냉각 효과를 낸다. 반면 지표에서 발생한 열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
해 온실 효과를 낸다. 둘이 합친 순효과는 냉각 쪽이다. ● 동아시아 기록은 별 도움 안 돼 개기일식의 달빛을 결정하는 것도 성층권의 황산 에어로졸 농도다. 연구자들은 1100~1300년 일어난 개기일식 기록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불안하란 법은 없다
2023.04.15
자신의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하면 할수록 우리는 불안해진다. 많은 이들이 밤에 잠을
못
이루는 이유 또한 침대 밑에 괴물이 있어서가 아니라 밤에도 쉴 새 없이 삶에 대해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도는 달라도 삶의 무게 앞에 불안하지 않은 존재는 없는 셈이다. 통계만 보더라도 미국립보건원(NIH)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20세기 중반 면역학이 발전하면서 공여자와 수혜자의 면역학적 유사성이 이식 수술의 성패에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수천 ... 의학사 여행』,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의학편』, 『줄기세포로 나를 다시 만든다고?』, 『지
못
미 의예과』 등이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을 끌어내리지 않고 자존감 올리기
2022.12.31
그것이 기적이라는 비교적 현실적인 생각을 갖게 된 것 같다. 네가 무엇을 좀
못
한다고 해서 너라는 사람 전체가 가치 없는 인간이 되지 않고 너의 사랑스러움 또한 변치 않는 것처럼, 사람의 가치란 상황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임을 안다. 나와 너 안의 변치 않는 무엇들을 찾아내는 횟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흡수하는 열에너지는 204줄(J)로 얼음이 녹아 물이 될 때 흡수하는 열에너지 330J에는
못
미치지만 꽤 컸다. 한편 용액에서 막을 통해 이온을 빼는 데 들어가는 전압은 0.22볼트(V)에 불과했다. 다만 막이 이온을 투과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게 문제다. 냉각장치의 용량은 주어진 시간에 주변 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연
못
물에 넣은 현실의 DNA바코드는 하루도
못
가 파괴되는 반면(왼쪽) 거울상 DNA바코드는 1년 뒤에도 온전하다(오른쪽). 각종 시료의 정보를 담은 거울상 DNA바코드가 조만간 널리 쓰이지 않을까.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
2022.11.05
가득 낀 듯 뿌옇기 마련이다. 늦게 자고 자주 깨는 바람에 수면의 ‘양’을 채우지
못
한 것 아닌가 싶었다. 연구라는 직업은 경력이 쌓여갈수록 깨어 있는 시간 동안 더욱 많은 생각과 고민을 요구하고 있었으므로, 내 몸에는 나도 모르게 스트레스와 체력적 부담이 늘어만 가는 듯 했다. 그래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아인슈타인도 설명
못
한 양자현상, 실험으로 증명하다
2022.10.05
가져다 준 세계관의 변혁이다. 이번 수상은 고전적 세계관이 잠들어 있는 관에
못
을 박는 의미를 가진다. 서로 떨어져 있는 입자들 사이의 양자 얽힘은 아인슈타인조차 ‘유령같은 원거리 상호작용’이라는 표현으로 불만을 제기할 정도로 받아들이기 힘든 현상이었다. 1935년 아인슈타인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설명하지
못
하는 걸 비롯해 연구자들이 만든 결과물이 보여주는 양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
하고 있다. 과연 언제쯤 과학자들이 물질의 모음을 생명체로 도약시키는 ‘창발성’의 비밀을 완전히 밝혀낼 수 있을지 궁금한 마음이다. 구형 인공세포에 대장균을 넣어주고 영양분(포도당)을 공급하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