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스페셜
"
모습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KISTI
l
2015.11.14
들어오자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전기과 회장이 단상에 올라가 멋지게 두 손을 들고 있는
모습
이었다. 아무리 많은 기술이 있어도 전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일종의 퍼포먼스였을까. 믿거나 말거나인 이 이야기는 모대학 전기과의 전설적인 무용담으로 남았다고 전해진다. KISTI 과학향기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사진4. 시화호 중 해수 순환이 순조롭지 않은 일부는 아직도 녹조가 끼는 등 오염 초기의
모습
이 남아있다. “지금 갈대습지가 있는 저쪽에 여름철마다 빈산소수괴가 나타나곤 했습니다. 빈산소수괴란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 즉 용존산소의 양이 적은(3mg/L 이하) 수생환경을 말하는데, 이런 일이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더해 관광 상품으로 만드는 것도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헬기 투어를 통해 섬의
모습
을 보여주고 거기에 담긴 이야기를 설명해 주는 상품이 개발되면 좋을 것이라는 뜻이다. 나아가 섬에 관련된 콘텐츠를 모두 모아서 국립 섬 박물관을 만들어 보는 것도 최 실장의 꿈이다. 사진 3. 갯벌 사진을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 3. 항원에 항체가 달라붙은
모습
을 묘사한 일러스트. 거의 모든 단백질은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생물이나 생화학물질을 검출할 때 항체를 종종 이용한다. 단 키트를 만들기 위해선 이에 필요한 항체를 개발하는 것이 문제였다. ... ...
영국의 해양정보시스템
2015.11.12
것도 주목할만한 특징이다. Interactive Map 페이지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클릭에 따라 지도의
모습
이 바로 변화하는 동적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를 지도에 나타낼 수 있다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늘 말이 없고 얌전했던 정의원 군(강원 정선 여량고 2)이 몹시 열정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
을 보여 모두를 놀라게 했다. 시종일관 장난을 치며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했던 한정협 군(제주 대기고 1)도 섬세한 손재주를 뽐냈다. 최 연구원은 “해부하는 솜씨를 보면 실제 성격을 알 수 있다”고 ... ...
바다의 총천연색 속살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도움이 된다. 2011년 일본 도카이 대지진 당시 지진해일 후 탁수와 부유물이 흘러나오는
모습
을 촬영한 천리안위성 사진. 수산업에서도 위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통신 체계를 수많은 어선을 관리하는 데 위성은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다. 수산자원은 일부 양식 생물을 제외하고는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연구본관동. 아직 잎이 다 자라지 않은 워싱턴 야자나무의
모습
이 막 태어난 기관을 대변하는 모양새다. 제주 공항에서 제주 1132 도로를 타고 동쪽으로 약 40분을 달리면 김녕항과 월정리 해수욕장을 지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를 마주할 수 있다. ... ...
원전 규제, 생각보다 더욱 철저하고 꼼꼼하더라
동아사이언스
l
2015.11.06
발전기 내부에서 발전기 용접 하나에도 열 온도까지 신경 쓰며 심혈을 기울이는 작업
모습
에 많은 이들이 감탄한 모양이었다. 박포일 씨는 “실제로 원자력발전소의 계통을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 이날 견학을 통해서 상상만 했던 부분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틀간의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 핵융합에너지, 원자력에너지와 어떻게 다를까요?
2015.11.05
에너지의 85%가 사라진 150년 뒤의 미래는 어떤
모습
일까요. 분명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모습
이지만 분명한 것은 먼 미래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자원은 언젠가 고갈될 수밖에 없습니다. 핵융합에너지 연구는 언젠가 고갈될 자원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기술’을 바탕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