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간
기미
테인
tarsus
스페셜
"
다소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중이온 가속기 구축과 기술자립"
IBS
l
2014.07.09
"고 말했다. 어떤 것이 잘되는 사업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일이 재미있었으면 좋겠다."는
다소
의아한 대답이 돌아왔다. 정회천 박사는 "아무리 가속기 구축이 잘 마무리되고 사업단의 목표가 달성돼도 거기에 참여한 개인이 재미없게 느낀다면 실패한 사업"이라고 평했다. 그렇다면 앞으로 RISP는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
2014.05.29
사람의 이름을 따 Ghyben-Herzberg(가이벤-헤르츠베르크) 법칙이라고 한다(그림 2). 이 원리를
다소
어렵게 생각할지 모르나 해안가 지하수의 염수화와 관련해 자주 회자되고 있는 법칙이니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그림 2. Ghyben-Herzberg(가이벤-헤르츠베르크) 법칙. 이 법칙은 담수와 해수의 경계면이 지하수 ... ...
과학기술과 경영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
KAIST
l
2014.05.19
기술경영학과에서도 충분히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처음에는 복수전공 의무화로
다소
고생은 하겠지만, 졸업 후에는 어디에서나 데려가고 싶어 하는 종합적인 리더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격려의 말을 전했다. *본 콘텐츠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
KAIST
l
2014.05.16
연구팀에서 성공한 것은 미생물을 대사공학적으로 개량하여 가솔린을 생산할 수 있다는
다소
과학적인 가치가 높은 것이긴 하나, 실제 실용화나 상용화와는 아직 거리가 멀다. 이 교수는 “과학·공학자는 ‘언제 완성이 되느냐?’ 라는 질문이 가장 곤혹스럽다”고 말한다. 그것이 예측되면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
KISTI
l
2014.04.10
것은 1774년의 연구 때문이었다. 그는 기체를 모을 때 사용되는 수은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다소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수은을 공기 중에서 가열하여 산화수은을 얻은 후 이 화합물을 시험관에 넣고 볼록 렌즈로 모은 태양빛을 쪼이자 어떤 기체가 발생했다. 이 기체 중에서 가연성 물질이 밝은 빛을 ... ...
[keyword로 읽는 과학] 소시오패스, 누구냐 넌?
KISTI
l
2014.02.14
감정적 학대와 같은 부정적 환경이다. 그러나 원인을 이렇게 나누어 단정 짓는 것은
다소
성급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은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56%, 나머지는 환경적 요인이거나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시오패스의 원인으로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는 만큼 이를 예방할 수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
KISTI
l
2013.12.19
다른 두 방법보다 편하다. 하지만 모든 시청자에게 UHD-TV를 보라고 유료 케이블을 까는 건
다소
어폐가 있다. 앞으로 UHD-TV가 점점 더 보편화 되면 이를 전파에 실어 보낼 대역을 확보해야 한다. 전파란 고속도로와 같다. ‘한 시간에 얼마나 많은 차를 보낼 수 있느냐’를 결정하는 건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
KOITA
l
2013.12.16
연구조직이므로 융복합적이면서 개발 과정까지 연계할 수 있는 과제의 수행에는
다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DARPA 방식을 잘 활용하려면 그 한계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모든 기초 연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 조직의 목표와 연구 영역을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실제로 공정이 양자적 수준으로 미세해짐에 따라 반도체의 발전 속도도 이전보다는
다소
완만해졌다. 더 큰 문제는 실리콘 결정의 격자 크기인 약 0.54nm 이하의 미세공정은 아예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반도체공학이 현재의 발전속도를 유지한다면 대략 20년 이내에 이 정도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5
성장했다. 마치 자신이 겪었던 이러한 과정이 나노 연구의 특징과도 같다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했다. “저는 이른바 엘리트코스를 밟지 않아서 그런지 이것저것 배우는 데 주저함이 없는 편입니다. 실제 이런 성향이 나노연구에 큰 도움이 됐지요. 나노과학은 융·복합 학문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