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님"(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어느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2019.05.16
- 출발이다. 내가 물리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 처음 들어갔을 때 고전역학을 가르치던 교수님의 말씀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논문이든 교과서든 자신이 스스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절대로 쉽게 믿지 말라. 사회생활에서야 이런 자세를 가지면 “넌 평생 속고만 살았냐?”라는 핀잔을 듣겠지만 과학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알파고의 공습2019.05.02
- 왜 자기 학교는 저 명단에 없느냐고 항의 아닌 항의를 하기도 했다. 이화여대의 어느 교수님도 비슷한 항의를 한 일이 있다. 내가 대학 명단을 보여 준 이유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이세돌에게 도전장을 낸 이 마당에 아직도 우리는 ‘서연고서성한···’’만 읊조리고 있으니 이 얼마나 한심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2019.04.30
- 질문에 “참 좋은 질문이네.”라고 시작하며 어려운 용어를 나열하며 얼버무리던 노교수님이 떠올랐다. 사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아이에게 변수를 이용한 반복 횟수 제어를 훈련시키고 싶었을 뿐이다. 변수와 연산을 사용한 아이의 코딩 결과물. 마지막 그림은 숙제로 내준 code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간 반발력, 막의 두께에 따른 점성 등을 측정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2013년 초에 그래닉 교수님께서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단장으로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부임하셨는데, 저는 처음부터 함께한 것은 아니고, 연구단 출범 이후 2015년 11월에 합류했습니다. Q: 삼성종합기술원을 다니다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교재에서 관련 부분을 읽어보고 나서 접근하니 확실히 이해의 폭이 넓어진 것 같았다. 교수님이 조언을 한 그날 실험을 핑계로 수업을 빼먹었다면 지금 필자의 작업 방식은 꽤 달랐을 것이다. 태아의 발생과정에서 피부에 부속된 기관의 형태형성이 음양의 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입자물리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으셨습니다. A: 서울대 사범대 물리교육과에서 훌륭하신 교수님들께서 항상 뭐든지 부수고 만들어 보라고 격려를 받았습니다. 핵융합이 궁금해서 원자핵공학과의 수업도 열심히 들어서, 사실 미국유학 갈 때 핵융합을 연구하고 싶었는데, 잘 안 됐어요. 그래서 할 수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무엇을 찾아야 할지 자신이 잘 알아야 해답을 얻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08.05
- 분이셨어요. 그래서 숯진주를 가지고 찾아 뵙고 성분 분석에 대한 상담을 받았죠. 다행히 교수님께서 새벽 6시부터 찾아온 열정이 대단하다고 별도의 비용도 없이 성분을 분석해주셨어요. 숯진주 열화상 실험. 김 대표는 제대로 된 실험이나 테스트를 하는 일이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였다고 한다 ...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IBS l2016.03.02
- Award)' 등을 연달아 수상했다. 그는 "사실 이렇게 상을 받은 것은 2000년 석사 과정 때 지도교수님이 주시는 우수논문상을 받은 이후 처음"이라며 웃었다. 청암 사이언스 펠로십은 국내 기초과학 연구자 중에서 가능성 있는 젊은 과학자를 선발하는 프로그램이고, 티메 케미스트리 저널 어워드는 ...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IBS l2015.12.30
- 연구위원은 김 교수와 면담한 후 그대로 눌러앉게 됐다. “하고 싶은 연구가 있느냐는 교수님의 질문에 끈 이론을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이곳에서 기초를 다져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권유를 하셨죠.” 그렇게 소 연구위원은 ... ...
-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구체적으로는 어류분야에는 우리 원의 명정구, 이은경 박사님과 부경대의 김진구 교수님께서, 갑각류에는 유옥환 박사님, 패류에는 이형곤 박사님, 갯지렁이에는 최진우, 권순현 박사님, 극피동물에는 이순길 박사님, 기타 생물에는 박흥식 박사님께서 참여해 주셨습니다. 이외에도 일반 환경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