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국내외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김빛내리 단장과 우재성 IBS 연구위원(서울대 연구교수)는 ‘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체가 1개의 드로셔와 2개의 DGCR8 분자로 구성돼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한 데 이어 엑스선을 이용해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까지 밝혀낸 것이다.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가 ... ...
- 응답하라, 옛날이여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노희경 작가와 김규태 감독의 드라마 작품 <빠담빠담>은 살인죄를 뒤집어쓴 채 16년 만에 출소한 남자와 과거의 트라우마로 사랑을 믿지 않는 여성 수의사의 사랑을 담아냈다. 정우성 한지민 김범 ...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IBS l2015.12.30
- 연구위원은 김 교수와 면담한 후 그대로 눌러앉게 됐다. “하고 싶은 연구가 있느냐는 교수님의 질문에 끈 이론을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이곳에서 기초를 다져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권유를 하셨죠.” 그렇게 소 연구위원은 ...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계는 매일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생산해낸다. 그렇게 축적된 데이터, 즉 빅 데이터는 우리 삶을 압도한다. 기업들은 데이터를 통해 자신들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며 결정에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때 생기는 오류를 바로잡는 '불일치 복구 시스템(미스매치 복구)'을 발견했고, 산자르 교수는 자외선이나 발암물질에 노출될 때 손상된 뉴클레오티드 부위를 복구하는 시스템을 밝혀냈다. IBS에도 DNA 복제, 손상 반응, 복구에 대해 분자적 수준에서 접근하고 있는 연구단이 있다. 바로 유전체 항상성 ... ...
- 정보 과잉 시대의 역설, 콘텐츠 큐레이션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3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 질문만 하면 원하는 답변을 얻었던 시기가 있었다. 초기 네이버 지식인 같은 서비스가 그랬다. 질문을 하면 재야의 고수들이 놀라운 답변을 들려줬다. 그런데 지금은 검색만으로 ...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998~2002) * 집행이사회 부의장 - 박철 교수 (충남대학교, 2012~현재) * 과학평의회 의장 - 김구 교수 (포항공대, 2004~2007) - 유신재 책임연구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0~2013) * 분과별 과학위원회 의장 - 장경일 교수(POC) (서울대학교, 2010~현재) - 장창익(FIS) (부경대학교, 1996~1999) - 정규귀(TCODE) ... ...
- 신규원전이 중심이 된 원전산업 클러스터, 해외에서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국민들의 원전수용성을 높이는 방법이기도 하다. 김성태 청주대 교수는 “국내에서도 원자력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경제 활성화와 함께 국민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전문적이고 특화된 지원체계, 즉 원자력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 ...
- 선진국의 원전 현황과 신규원전 (1)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이유에 대한 발표를 신뢰하고 재가동을 차분히 기다릴 정도라는 전언이다. 신 교수는 “프랑스인들이 원전에 찬성하는 것은 단지 싼 전기가격 때문은 아니”라며 “원전 가동에 따른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한편 지역과 함께 성장하려는 노력을 한 덕분”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IBS l2015.11.18
- 위해 만들어진 복제인간 이야기가 긴박하게 그려진다. 개봉 당시 국내에서는 황우석 교수 사건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영화는 이와 맞물려 사회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흥행 여부를 떠나 생명 복제에 대한 윤리적 화두를 던진 문제작이기도 하다. 복제인간은 정말 상품일 뿐일까? 영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