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스페셜
"
공개
"(으)로 총 2,87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기 멸종한 캥거루, 인간 사냥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의존하지 않고 광범위한 식단을 가졌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0일 사이언스에
공개
했다. 캥거루 멸종에 인간의 사냥이 관여했을 수도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약 258만년 전부터 1만2000년 전까지의 지질시대인 홍적세(플라이스토세)에는 빙하기가 반복되며 호주를 포함한 지구 식생에 큰 ... ...
[동물do감] 생쥐도 '부익부 빈익빈'…어린 시절 행운이 평생 차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
했다. 마태복음에는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라는 구절이 있다. 미국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이 성경 구절을 인용한 '마태효과(Matthew effect)'라는 용어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방안'이 등장했고 8월에는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이
공개
됐다. 11월에는 시행령인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서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과서'로 규정했다. 그리고 11월에 검정을 마칠 때까지 15개월 만에 '세계 최초'의 새로운 교과서가 탄생한 것이다. AI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깊은 불황 늪에 빠진 석유화학 산업
2024.12.11
대통령의 재선 성공도 국제 사회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공개
적으로 예고하고 있는 높은 관세 장벽이 걱정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석유화학 제품의 중국발 공급 과잉도 심각하다. 중국은 그동안 국가 주도로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공격적인 시설 투자를 계속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염기서열 해석·생성 AI 모델인 Evo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5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
했다. 생명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는 DNA 염기서열에 모두 암호화됐다. 아메바처럼 단순한 생물의 유전체도 수백만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져 있어 매우 복잡하다. AI가 등장한 이후 방대한 데이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않는다. 결국 알파폴드와 로제타폴드가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세계 연구자 누구에게나
공개
된 PDB의 고품질 실험 데이터를 학습한 덕분인 셈이다. 만일 PDB가 실험 데이터라고 무조건 받아주거나 예측 데이터가 섞여 있는 상태였다면 AI 프로그램이 잘못된 학습으로 지금 같은 성능을 발휘하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발병·치료 원리 밝힐 3차원 종양 지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2
3D) 지도를 만들고 종양과 성장 특징 등을 살핀 12편의 논문을 네이처에 30일(현지시간)
공개
했다. 연구팀은 인간과 동물의 조직에서 추출한 수십만 개의 세포를 분석해 종양 세포의 3D 지도를 만들었다. 악성 종양에서 세포 조직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유방, 대장, 췌장 등 부위에 따라 종양이 약물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전체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0.05
뇌의 정보처리 과정들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네이처에 7편의 논문으로
공개
했다. 초파리는 신경세포의 수가 인간보다 100만 배 적지만 비행이나 사회적 상호작용 등 복잡하고 전교한 행동을 수행한다. 과학자들은 초파리 뇌 지도를 시작으로 다양한 생물에서 뇌의 메커니즘을 밝힐 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더욱이 의대 정원을 결정해 주는 '과학법칙'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참석자도
공개
하지 못하고 의사록도 찾을 수 없는 '37차례 협의'를 '과학적 근거'라고 반복적으로 우기는 대통령의 억지는 과학자에게는 모욕적인 것이다. '약탈적 떼도둑'(카르텔)도 모자라서 이제는 과학의 본질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세포 속 '미세핵' 붕괴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1
붕괴하는 데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각각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30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
했다. 산타기다 교수팀은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위 그림에서 금색)에서 나온 활성산소종(ROS)이 자가포식 단백질인 p62(위 그림에서 빨간색)를 산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산화된 p62는 핵막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