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람석
스페셜
"
계랑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천지교회 외 코로나19 집단발병…의료기관-직장-종교시설 순
연합뉴스
l
2020.03.23
신천지대구교회를 제외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집단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의료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으로 신천지교회 사례를 빼고, 집단시설에서 역학적으로 연관된 2명 이상의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보고된 사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블록체인은 과학을 구원할 수 있을까
2020.03.12
블록체인은 2008년 금융위기에 대한 해커그룹의 대응이며, 중앙집권화된 금융시스템을 탈중앙화하면서도 신뢰를 보장할 수 있게 설계된 기술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물론 번영을 만드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하지만 제가 다시 한 번 전하고자 하는 바는 램프의 기술 요정이 병에서 ... ...
[인류와 질병]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의 기원
2020.03.07
모나리자 작품에 마스크를 합성한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상황이 여전하다. 한국 상황은 다소 주춤하지만, 세계 다른 지역에서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미 세계 곳곳에서 지역사회 감염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으므로 사실상 대유행(팬데믹)이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방법
2020.02.29
픽사베이 제공 지난 글 '가짜뉴스 피하는 법'(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4493)에서 살펴 봤듯이 가짜뉴스와의 싸움은 쉽지 않다. 우선 가짜뉴스들은 실제 뉴스보다 훨씬 빨리 그리고 널리 퍼진다. 자극적인 내용으로 실제뉴스보다 훨씬 재미있고 화제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자발적으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일러스트 박장규 / 어린이과학동아DB '치느님'이라고 부를 정도로 맛있는 치킨을 최초로 먹은 사람은 누굴까. 인류는 언제부터 닭을 키우기 시작했을까. 이런 질문도 고고학자의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인도의 먼지투성이 유적에서 첫 번째 닭의 흔적이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닭싸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구약성서의 창세기에는 조물주가 여자를 창조한 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며 자식을 낳을 것이며…” 죄를 지어 그렇다지만, 좀 야속한 일이다. 호모 사피엔스는 출산을 참 어렵게 하는 종이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이현욱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드디어 구디너프 교수님이 받으셨어요.” 동료 교수와 저녁 식사를 하면서 우리는 노벨화학상을 누가 받게 될지 주시하고 있었다. 9일 저녁 아마도 적지 않은 이들이 스웨덴에서 발표하는 노벨화학상의 결과를 주시하고 있었을 것이다. 과학자라면 모두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대개 게으르다. 적어도 컴퓨터 앞을 잘 떠나지 않는다는 면에서 그렇다. 책상 한편에 수북이 쌓인 음료수 캔이나 간식 포장지 따위는 개발자들이 모여있는 공간에서 쉽게 목격할 수 있는 광경이다. 움직이지 않는 만큼 만성적인 운동 부족에 시달린다. 개발자는 돼지나 멸치 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우리는 누구나 하나의 세포에서 출발하고 수많은 종류의 세포로 끝난다. 하지만 세포 안에 들어있는 유전자의 종류는 언제나 처음과 같다. 어떤 의미에서 세포는 모든 것을 알고 있지만 극히 일부분만을 표현한다. - 조너던 와이너, ‘초파리의 기억’에서 GIB 제공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는 4년 전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고등과학원 제공 별이 지다. 영국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14일 별세했다. 그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은 가장 저명한 물리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근위축성축삭경화증, 이른바 루게릭병으로 모든 근육이 마비돼 움직일수 없었지만 부단한 노력으로 우주와 양자 중력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