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음
뉴스
"
흑
"(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나는 저승사자 ‘공포’
2016.10.20
천사’가 매달려 있다. 우리식으로는 저승사자다. 해골 형상에 검은 옷을 입은 이
흑
천사가 하늘을 떠다닌다고 상상해보자. 소름이 돋을 수밖에 없다. 사진 공개자는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사진은 해외 인터넷에서 급속히 퍼지며 주목을 받는다. 기발하고도 무서운 아이디어라는 평가가 많다 ... ...
[바둑과 처세술⑨] 꺼진 불의 불씨까지 다시 보자!
2016.09.18
역전된다. 따라서
흑
은 이 집안의 빈틈을 발견해서
흑
1 자리를 지켜야 한다. 그러면
흑
은 7집을 지킬 수 있다. 이 모양처럼 완벽해 보이는 곳에도 빈틈이 있을 수 있다. 그것을 발견해 시건을 미연에 방지해야 승리를 거둘 수 있다. ● 고수의 빈틈 관리 비법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도 ... ...
[바둑과 처세술⑧] 착각은 자유?! 큰일 날 소리!
2016.09.16
사활을 착각했기 때문이다. 백이 잡으러 와도 살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착각 하나로
흑
은 승리를 바로 눈앞에 둔 상황에서 대역전 당했다. 착각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 인생에서도 착각은 경계 대상 세상살이와 닮았다는 바둑에서 착각이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고 ... ...
[바둑과 처세술⑥] 어느 집단에서든 환영 받는 사람이 되자!
2016.09.12
백1에서부터
흑
8까지 두는 것은 어떨까? 이번에는 오른쪽 변에 백돌이 위치해 있어
흑
의 튼튼한 벽이 별 쓸모가 없다. 한마디로 이 장면에서는 이 정석이 전체적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다. 비유하자면 동남아의 무더운 여름 날씨에 두꺼운 모피코트를 입은 격이라고나 할까. 이처럼 전체상황과 ... ...
수학으로 두는 바둑의 신의 한 수는?
수학동아
l
2016.08.28
바둑에서 벌리캄프의 끝내기 이론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다. 벌리캄프의 끝내기 이론은
흑
돌과 백돌이 모두 살아있고, 두 돌의 그룹은 모두 독립적이어야 하는데 이런 경우는 실제로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리캄프의 연구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바둑의 여러 분야 중에서 ... ...
아인슈타인, 앨런 튜링, 존 내쉬 같은 천재들은 왜 바둑에 열광했을까
2016.08.05
모두 360집이 되는데, 이는 1년이 약 360일이라는 천문학적 사실에서 비롯한 것이죠.
흑
과 백이 어우러지는 바둑은 음양오행 이론에 기반을 두고 우주를 형상화한 스포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선놀음’ 또는 ‘선비놀음’이라고 불리우기도 하죠. 서양의 체스가 동양의 장기에 해당한다면, ... ...
알파고가 인간을 이긴 원동력 바로 이것!
2016.08.03
마지막 남았던 보드게임 적어도 2500년 전에 중국에서 기원한 바둑은 두 대국자가
흑
돌과 백돌을 번갈아가며 바둑판에 한 개씩 놓아 더 많은 영역을 만드는 ‘보드게임’이다. 세계의 과학자들은 1997년 컴퓨터체스 딥블루(Deep Blue)를 제작하여 세계 체스챔피언을 물리친 후, 마지막 남은 동양의 ... ...
인공지능에서는 ‘인간다움’이 주는 감동을 느낄 수 없다
2016.03.25
인간 이세돌에게 무너진 것이다. 5국 째에 이세돌 9단은 백돌로는 이겨봤으니 불리한
흑
돌로도 알파고에게 이겨보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기계였다면 당연히 승률이 높은 쪽으로 기울게 돼 있다. 아마 알파고에게 선택지를 줬다면 알파고는 당연히 백돌을 선택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세돌 ... ...
알파고,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음모론에 빠지다
2016.03.19
3연패 후의 짜릿한 1승, 백을 잡는 게 유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마지막 대국에서
흑
돌을 집어든 모습, 패배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승자에게 축하를 보낸 인터뷰 등에서 느껴진 건 정점에 도달한 사람만이 뿜을 수 있는 대인의 풍모였습니다. 이번 대회와 관련된 한국기원 측의 준비가 부족했다는 ... ...
[제5국 분석] 인간 이세돌은 인공지능 알파고에게 지지 않았다
2016.03.17
154수 - 바둑의 제왕 제공 우변을 선수로 정리하고 중앙을 끊어가는 알파고. 이렇게 되면
흑
이 이기기는 힘든 바둑입니다. 이후에도 120수 이상을 더 진행해서 280수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을 펼치며 맹추격했지만 결국 알파고의 계산력을 따라잡지는 못했습니다. 끝까지 계가를 했으면 한 집 반 정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