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뉴스
"
호모
"(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간빙기가 불러온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의 '극적인' 만남
동아사이언스
l
2023.08.11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호모
사피엔스와 함께 플라이스토세(약 258만년 전~1만1700년 전)에 출현해 가장 최근까지 지구상에 남아있었던 고인류다. 데니소바인은 현재까지 발견된 화석이 거의 없어 정확한 생존 연대를 파악하긴 힘들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분석 결과를 담은 논문에서 한 곳이 조지아다(코카서스). 한편 2000년대 초 보존이 잘 된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이 발견된 이후 고인류학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드마니스도 조지아의 지역이다. 이들 과학을 테마로 조지아 여행 일정을 짜봐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5.13
NHGRI)가 지원하는 국제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 컨소시엄(HPRC)’ 국제 공동 연구팀은
호모
사피엔스 전체에 걸쳐 발견되는 DNA 염기서열을 최대한 많이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추진해온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의 첫 번째 초안을 완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빙하기·간빙기 겪으며 인류가 살아남은 이유..."생물 다양성 찾아다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세계 최초로 자연환경에 대한 인류 조상의 거주지 선호도를 대륙 규모로 입증했다”며 “
호모
종에 대한 ‘다양성 선택 가설’을 새롭게 제안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 ...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질병연구 획기적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1
NHGRI)가 지원하는 국제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 컨소시엄(HPRC)‘ 국제 공동 연구팀은
호모
사피엔스 전체에 걸쳐 발견되는 DNA 염기서열을 최대한 많이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추진해온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의 첫 번째 초안을 완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가장 정교한 단백질 분석법으로 200만년 전 인류 DNA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섬에서 발견된 '
호모
플로리엔시스'에 대한 분석도 진행된다.
호모
플로리엔시스는
호모
사피엔스와 같은 시기에 살았던 인류의 조상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프로테오믹스는 유전자 명령으로 만들어진 단백질체(프로테옴)를 대상으로 유전자와 단백질의 기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문화의 증거가 보이고 인근 에티오피아에서도 175만 년 전 아슐리안 석기가 나왔다. 즉
호모
에렉투스야말로 하빌리스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 어쩌면 파란트로푸스가 아슐리안 석기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게 에렉투스와의 경쟁에서 밀려 결국 멸종한 이유 가운데 하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 ...
25만년 동안 첫 아이 출산 남녀 평균 연령은 '26.9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출산했을 때 평균 연령은 26.9세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한 약 25만년 전부터 현재까지 처음 아이를 가졌을 때 남녀의 평균 연령은 26.9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대다수 남성의 나이가 여성보다 높았다. 문명이 본격 발달한 최근 5000년간 ... ...
[인터뷰] "기후위기 앞에서 당신은 슬기로운가요"
과학동아
l
2022.12.31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다. 약 45억 년 전 지구의 탄생부터 이야기를 시작해 현생 인류,
호모
사피엔스(‘슬기로운 사람’이란 뜻)의 진화와 문명의 탄생을 차례로 소개한다. 그렇게 지구와 인류의 역사를 따라가다 보면 1950년대부터 급격하게 파괴되는 지구를 만날 수 있다. 그 순간 우리는 스스로 ... ...
미식가 네안데르탈인은 '팬케이크' 만들어 먹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4
전에 살던 고대 인류가 불로 생선을 구워먹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네안데르탈인이나
호모
사피엔스가 17만년 전 처음으로 불을 사용한 요리를 시작했다는 기존 가설이 뒤집힌 것이다. 관련 연구는 국제학술지 '자연 환경학과 진화' 온라인판에 13일 게재됐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