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황
뉴스
"
현재상황
"(으)로 총 5,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공의 복귀 가시화…빅5 “병상가동률 정상화까지 시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29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전공의협의회 사무실. 연합뉴스 제공 전공의 복귀가 임박했지만 주요 상급종합병원들은 병상가동률이 의정갈등 이전 수준으로 당장 회복되긴 어렵다고 보고 있다. 전공의 부재 기간 동안 병상 운영이 축소되면서 입원·수술 대기 기간이 길어지고 외래 진료 예약도 지 ... ...
아폴로 이후 달 착륙 첫 인류는 중국인?…中 달착륙선 '란웨' 검증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보름달.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제공 중국이 유인 달착륙선의 착륙·이륙 검증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2030년이 되기 전에 중국인의 달 탐사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유인우주국(CMSA)이 중국이 유인 달착륙선을 목적으로 제작한 '란웨(蘭 ... ...
가장 가까운 이웃 별서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외계행성 증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알파 센타우리 삼중성계에 있는 거대한 가스형 외계행성(오른쪽 아래)의 모습을 상상해 표현한 그림. 외계행성은 토성과 질량이 비슷하고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보다 약 2배 먼 거리에서 알파 센타우리 A를 공전하고 있을 것으로 계산됐다. 왼쪽에 알파 센타우리 A, 오른쪽 위에 멀리 알파 센타우 ...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7월 31일 중성미자 검출기 하이퍼카미오칸데가 설치될 일본 기후현 히다시 지하공동의 모습. 총 높이 93.7m, 지름 69m의 거대한 원통 형태다. Kamioka Observatory, ICRR, The University of Tokyo 제공 일본의 차세대 중성미자(Neutrino) 검출기 '하이퍼카미오칸데(Hyper-Kamiokande)' 건설을 위한 거대 지하공동 굴착이 완료 ... ...
과기 출연연 연구자 42.4% "승진 등에서 성차별 존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8.03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전경. NST 제공 국내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자 42.4%는 기관 내에서 승진 등과 관련된 암묵적인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연연 연구자 82.1%는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똑똑한 것 같지만 지혜롭지는 않은 사람들
2025.08.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떤 사람에 대해 '똑똑하지만 지혜롭지는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눈치가 빠르고 자신의 이익을 매우 잘 챙기지만 장기적인 비전이 없다거나, 단기적으로는 이득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해로울 수 있는 결정을 내리는 사람을 볼 때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 ...
ETRI, 2억5720만원 규모 계약 체결하며 '하도급 묵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ETRI 로고.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원들이 '하도급 금지 조건'인 계약을 맺으면서 수주업체가 전 과업을 다른 업체에 맡기도록 묵인했다는 감사결과가 나왔다. 1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에 따르면 NST 감사위원회는 ETRI 연구원들이 2022년 하도급이 금지된 2억 5720만원 규모의 계약 ... ...
의협 "코로나19 유행 우려…치료제 공급 원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여름철 휴가 기간 동안 코로나19가 재유행할 가능성이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입원환자가 늘면서 여름철 코로나19 유행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정부에는 원활한 치료제 공급을 요청했다. 질병관리 ... ...
냅킨에 적은 아이디어가 5년 뒤 논문으로…"수학연구의 시작은 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신석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 겸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이채린 기자 2011년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학회가 끝나고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들이 식탁에 둘러앉아 차를 마실 때였다. 이야기를 하던 피터 사낙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아!' 하는 소리와 함께 정신없이 냅킨 위 ... ...
뇌 속 별세포로 PTSD 치료 가능성 확인…치료제 임상2상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이창준 IBS 연구단장. IBS 제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쉽게 사라지지 않는 이유와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PTSD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창준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 등 공동연구팀이 대규모 뇌영상 데이터를 통해 PTSD의 병리기전을 알아냈다고 29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