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씨
PC
컴터
pc
퍼스널컴퓨터
퍼스날컴퓨터
개인컴
뉴스
"
피시
"(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성에게만 발병하는 지적장애 원인 유전자 찾아냈다
연합뉴스
l
2020.07.27
기능이 제거된 제브라
피시
는 신경 발생과 발달에 이상을 보였다. 정상적인 제브라
피시
가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반해, 녹아웃 모델은 새끼 때부터 개별적으로 행동하는 등 자폐증의 특징인 사회성이 결여된 모습을 보였다. 1천100여개의 X염색체 유전자 가운데 현재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않을까. 만일 이런 사람들 있어 이들의 전사체를 분석해 휴면 중인 터과이즈킬리
피시
배아의 전사체 데이터와 비교해 본다면 노화와 근위축(또는 근육의 비활성화)을 극복하는데 영감을 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현미경으로 보고 초음파 쏘아 살아있는 근육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새롭게 개발된 현미경은 자연 상태 그대로 살아 있는 제브라
피시
내부 조직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얻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은 “초음파 결합 광학 현미경은 기존 광학 현미경의 이미징 깊이 문제를 해결하는 획기적인 기술”이라며 “공간 ... ...
강렬한 인상, 붉은색 심해 ‘고래 물고기’
팝뉴스
l
2020.02.05
만. 물고기는 수심 1665m 해저에서 천천히 헤엄치고 있었다. 물고기 이름은 웨일
피시
즉 ‘고래 물고기’인데, 볼펜으로 점을 찍은 듯이 작은 눈이 특징이고 수심 3500m에서도 관찰된 적이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바다에서 흰말미잘 틈에서 헤엄치고 있는 홍해아네모네
피시
를 담았다. 아네모네
피시
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따뜻한 바다 산호초 해역 말미잘 안에서 알을 낳고 살아간다. 탐 슐레싱거/영국왕립학회 제공 지구과학과 기후학 부문 준우승작인 '거품이 나는 바다'. 미국 플로리다공대에서 ... ...
헬릭스미스 임상 3상 결과 발표 연기…"약물 혼용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안전하다는 사실을 입증한 셈이다. 헬릭스미스는 현재 임상 전문가인 레너드
피시
박사를 단장으로 조사단을 꾸려 정밀 조사를 시작했다. 추후 법적 조치 가능성을 고려해 증거를 수집하고 정밀 분석을 거쳐 명확한 결론을 낼 때까지 비공개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보다 확실하고 ... ...
심장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09.04
신경망을 선명하게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홀로그램 현미경으로는 어린 제브라
피시
의 신경망만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최원식 IBS 부연구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현미경이 뇌신경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정밀측정과 관찰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동물실험 안 한다" 세계적 英 연구소 두 곳 동물실험실 폐쇄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웰컴생어연구소가 13년간 전세계 수천 명의 유전학자들에게 마우스와 래트, 제브라
피시
, 개구리 등 주요 실험동물을 공급하던 동물실험시설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웰컴생어연구소는 최초로 인간의 세포가 지닌 DNA 정보를 약 20년에 걸쳐 모두 해독했던 ‘인간게놈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이끌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렘수면이 사람과 유일하게 다른 점은 빠른 안구 운동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브라
피시
는 물고기이기 때문에 눈꺼풀이 없어 눈을 뜨고 잔다. 그는 "이 연구결과로 보아 사람처럼 다른 단계를 반복하는 수면현상이 이미 진화적으로 4억 5000만 년 전에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화학硏, 간경변 치료제 새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조절 기작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다. 김창균 화학연 원장 직무대행은 “화학연의 제브라
피시
모델과 글로벌 신약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연구”라며 “신약 개발 연구 선진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간경변 유발 설치류 동물(가운데)의 경우, 간 섬유화가 진행돼 대리석 무늬처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