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뉴스
"
정밀
"(으)로 총 2,633건 검색되었습니다.
봄철 골칫덩이 알레르기 질환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증상이 사라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6주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 두드러기로 분류해
정밀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알레르기 반응은 발현 속도에 따라 즉시형과 지연형으로 나뉜다. 즉시형 반응은 알레르기 물질에 노출된 후 수 분에서 1~6시간 이내에 급격히 나타난다. 음식 알레르기나 약물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생쥐 뇌에 담긴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2
3차원(3D)으로 복원해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간 신호가 전달되는 접점인 시냅스를
정밀
하게 재구성했다. 영역 안에는 약 8만4000개의 뉴런과 5억2000만 개의 시냅스, 총 길이 5.4킬로미터km에 이르는 축삭 연결망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됐다. 축삭은 뉴런에서 전기 신호를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가느다란 ... ...
[과기원NOW] 포스텍, 국내 대표 헌법학자 이효원 교수 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및 센싱 솔루션 분야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OTS(Optical Tracking Sensor) 기반 고
정밀
센서 기술, 센서 융합 기술, TOF 센서 안전 인증 기술의 차별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아 선정됐다 ... ...
대만서 발견된 미스터리한 인간 화석은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고대 단백질체 분석 기술을 활용해 턱뼈와 치아 법랑질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서열을
정밀
하게 분석했다. 2년에 걸친 실험을 통해 총 4241개의 아미노산 잔기(아미노산끼리 사슬을 이루고 남은 것)를 검출했다. 이 중 2개가 데니소바인에게만 나타나는 특정 아미노산 잔기임을 확인했다. 분석 ... ...
면역반응의 ‘두 번째 과정’…최적 T세포만 골라 활성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좌우한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감염 상황에서 T세포가 어떻게 활성화되고 증식하는지
정밀
하게 추적했다. T세포의 활성화는 림프절 내에 존재하는 수지상세포(DC)가 병원체 조각인 항원을 인식하면서 시작된다. 수지상세포와 접촉한 T세포는 약 24시간 동안 면역 신호를 받아 빠르게 분열해 ... ...
빛 쓰는 '광컴퓨터' 빛 볼까…속도 100배 향상 '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사라지는 광손실이 일어난다"며 "광소자 칩의 한계였던 '광손실'을 대폭 줄이고 칩의 빛
정밀
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성능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네이처가 두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함께 실은 논평에서 앤서니 리조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는 "수십 년 동안 개발되어 온 광컴퓨터가 이번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뇌 구조와 기능 데이터셋에선 억제 뉴런이 특정 흥분 뉴런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더
정밀
하게 뇌 회로를 조율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일부 억제 뉴런은 여러 흥분 뉴런의 작동을 동시에 억제했다. 다른 일부는 특정 유형의 뉴런만을 정확하게 겨냥했다. 뇌 신호의 정합성과 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 ...
100년 만에 풀린 물리학 퍼즐…단일 입자 내 파동에너지 완벽 속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증명했다. 원통형 입상(granular) 결정으로 공진기를 만들고 공진기 사이의 접촉면을
정밀
조절해 파동끼리 결합하는 현상을 제어하자 단일 입자에서 외부로 에너지 방출이 사라지는 BIC가 구현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1000 이상의 품질 계수(Q-factor)를 기록했다. 품질 계수는 에너지가 ... ...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제시했다. 비불소계 나노 질화규소를 전해질에 첨가해 리튬 이온의 용매화 구조를
정밀
하게 조절했다. 또 무기물이 풍부한 안정적인 고체전해질 계면 층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질화규소는 전해질의 분해로 발생하는 부식성 불화수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해 양극 부식을 억제했다. 고전압 ... ...
혈관과 소통하는 암, 실시간으로 본다…상호작용 모사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암세포와 혈관 간 상호작용을 실제 인체 환경처럼
정밀
하게 모사하고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칩 기술이 개발됐다. 환자 맞춤형 항암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조윤경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