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뉴스
"
전도
"(으)로 총 74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 이온 이용해 배터리 양극재 성능·수명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배터리 충·방전 중 발생하는 결정 구조의 붕괴 현상에 따른 내구성 문제와 낮은 이온
전도
성으로 인한 느린 충·방전 속도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소화-몰리브데넘 산화물 양극 소재는 상용 소재 대비 약 1.4~2배에 해당하는 280mA/g의 높은 에너지를 저장했다. 또 약 20분 안에 170mA ... ...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저항값이 예측값보다 무려 100배 이상 증가했다. 제작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전도
경로 때문에 비국소 저항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이중층 그래핀을 활용한 차세대 정보 기술인 '밸리트로닉스'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밸리트로닉스는 전자의 ... ...
그래핀과 초
전도
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극성을 자유롭게 제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2차원 초
전도
접합 기술은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새로운 전자 소자와 연구 분야를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지난달 28일 게재됐다. ... ...
조선시대 핼리혜성 상세기록한 '성변측후단자'…천문연,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면 한국의 과학 분야 기록물로는 처음이다. 지난해 북한의 '혼천
전도
'라는 천문도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국내 예선 신청은 이번 달 20일에 마감된다. 예선 결과는 내년 2월경 나올 예정이다. 유네스코로 등재 신청이 접수되면 주변 ... ...
국민 41.9% "딥페이크 가짜뉴스 판별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과기정통부는 설문조사 기간 동안 딥페이크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 아이디어 공모
전도
열었다. 10월 19일에는 디지털 심화쟁점 토론대회를 통해 딥페이크 가짜뉴스와 성범죄 대응 방안에 대해 대학생 토론을 진행했다.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 ...
KAIST, 수소 연료전지 수명 높이는 촉매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자기조립 고분자에 자체 포함된 피리딘을 이용해 질소 도핑을 한 다음 우수한 전기
전도
성, 촉매 활성도 및 내구성을 확보했다. 연구팀이 만든 촉매 플랫폼을 이용해 수소 연료전지를 작동시키면 고강도 내구성 평가 이후에도 기존 상용 촉매를 사용할 때에 비해 약 62% 이상의 전류 밀도가 ... ...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차세대 이차전지 용량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도전재를 만들어 고용량 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했다. 용매 사용 없이도 잘 분산된 고
전도
성의 CNT는 내부의 다른 물질들을 전기적으로 잘 연결해 차세대 이차전지의 성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연구를 이끈 한중탁 책임연구원은 “건식 공정은 유독성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 ...
[과기원NOW] 포스텍,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 전자 분포 조절하는 장비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원자힘현미경,
전도
성 나노광학 안테나 탐침, 초고분해 분광장치, 고속 교류전압 펄스 발생기를 연동 결합한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 조절기를 개발해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조절하는 장비를 최초로 ... ...
200°C 극한 환경서 가스 감지하는 고분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이동도를 증가시켜
전도
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n타입 기반의
전도
성 고분자인 ‘N-PBTBDTT’는 질소 이산화물(NO2)과 같은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데 있어 매우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질소 이산화물 감지에 대한 민감도는 189%로, 매우 낮은 농도인 2ppb(10억분율 단위)에서도 높은 ... ...
그래핀으로 뇌종양 위치 정확히 잡아낸다…첫 임상시험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전기와 열
전도
성도 우수하다. 실리콘보다 전기
전도
성이 100배 뛰어나며 전자기기나 고출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발열 문제를 최소화한다. 이같은 특성으로 반도체, 전자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발견한지 2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