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래
앞날
관망
경관
앞길
전망
차후
뉴스
"
장래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변곡점을 만든 대(大)학자가 된다. 바로 찰스 로버트 다윈이 주인공이다. 아들의
장래
를 걱정하는 아버지의 심정을 모르는 바 아니기에 1828년 다윈은 꾸역꾸역 케임브리지대에 신학을 공부하러 간다. 하지만 이번에도 마음은 콩밭에 가 있었다. 최대 관심사는 어떻게 해야 영국을 떠나 생명이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가 말하는 수학의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법
과학동아
l
2019.09.01
됐다”고 말했다. 고민 해결 과정은 다른 참여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장래
희망이 수학자라는 중학생 참가자 김예호 양은 “다른 사람이 고민을 해결하는 과정을 보면서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새로운 접근법을 얻었다”고 말했다. 김준희 군은 “평소에 수학을 ... ...
김상규 KAIST 교수, 제12회 여천생태학상 수상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여천생태학상은 기초생태학 분야에서 연구업적이 뛰어나고
장래
가 촉망되는 생태학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으로 매년 수여된다. 2005년 김준호 서울대 명예교수가 여천생태연구회에 기증한 기금을 바탕으로 제정됐다. 김 교수는 줄기초식곤충인 바구미와 숙주 생물인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경험을 잊을 수 없다”면서 "지금은 정치적으로 갈라진 냉혹한 현실이지만, 멀지 않은
장래
에 서로 힘을 합쳐 ‘한반도 당뇨병 관리모델’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평향 학술대회에 참가한 계기는 무엇인가 국제당뇨병연맹(IDF) 대표단이 북한 평양 류경안과병원을 방문한 모습. 서 ... ...
日 연구팀, 줄기세포로 간염상태 '미니 간' 재현
연합뉴스
l
2019.05.31
있다. 다케베 교수는 "iPS로 미니 장기를 만들면 어려운 질병도 재현할 수 있다"며
장래
에는 폐나 대장 등 다른 인체기관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신경세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치매나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은 뇌의 신경세포가 죽어 일어난다. 퇴행성 뇌질환의
장래
치료법 가운데 하나로 신경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해 손상된 부위를 복원하는 방법이 꼽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신경세포)로 분화시켜 대량으로 배양하는 기술이 먼저 필요하다.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
가 촉망되던 젊은 조선인 과학자였다. 하지만 그는 1941년 3월 고등학생 때부터 참여한 연구회가 일제 검찰에게 발각돼 조사를 받던 중 4일 만에 목숨을 잃었다. 혹독한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감옥에서 세상을 ... ...
[과기장관회의]② 2022년까지 해외우수인력 1000명 유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정책 설계 기반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최준환 미래인재양성국 과장은 ”통계청
장래
인구추계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비가 2015년 73.4%에서 2030년에는 64.0%로 감소하고 빅데이터‧인공지능(AI)‧클라우드와 같은 신산업분야에 3만2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은 급격한 ... ...
식물 종자·동물의 알, 태어나기 전부터 정보교환한다
2019.02.12
이 경우 어미가 꼭 새끼를 위해 운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새끼가 어미새의 울음소리를
장래
준비에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알이 외부상황에 반응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보스턴 대학의 카렌 워켄팅 교수에 따르면 도롱룡류의 알은 포식자인 플라나리아의 냄새를 맡으면 부화를 늦춘다.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세포로 맞춤형 면역치료제 생산 항암 면역치료제는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을 만큼
장래
성이 높은 분야다. 아직은 약 특정 암 환자의 20%에서만 효과를 보이는 등 한계가 있지만, 제3세대 항암제로 꼽힐 정도로 발전 속도가 빠르다. 여기에 ‘오가노이드(미니장기)’ 기술을 접목한 개인맞춤형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