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유일
다만
뉴스
"
오직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05.28
복제해 XX로 만들었다. 논문에 따르면 리버신을 아주 약한 농도로 적절히 사용하면
오직
성염색체만 두 배로 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수컷의 난모 세포는 각인 유전자를 편집할 필요 없이 여성의 감수분열을 거쳐 난자가 된다. 연구팀은 이 난자와 정상 수컷의 정자를 체외수정한 뒤 대리모 ... ...
카메라·라이다 없이 모든 지형 다니는 사족보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소요된다”며 “실제 로봇에는 학습된 행동자 네트워크만 탑재돼 주변 지형을 보지 않고
오직
로봇 내부의 관성 센서와 관절 각도의 측정치를 활용해 시뮬레이션에서 학습한 다양한 환경 중 어느 환경과 유사한지 상상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설명했다. 가령 로봇이 계단을 올라갈 때 로봇 발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로는 자신에게 너그러워야 성장한다
2023.03.25
강인함과 거리가 먼 것 같지만, 실패가 일상인 가혹한 환경에서 살아남는 데 있어
오직
엄격함 만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무리다. 그보다는 최선을 다했지만 넘어지고 만 자신을 마주했을 때 욕을 던지기보다 따뜻한 말로 토닥이고 용기를 북돋아주는 태도가 버티는 힘을 만들어낸다는 인식이 ... ...
[주말N수학] 록밴드 '보컬리스트'가 부캐인 괴짜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2.25
부정하는 기하학이다. 주어진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면서 그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오직
하나라는 공리를 따르지 않는다. 서 교수는 이런 기하학이 세상에 있다는 사실이 신기해 쌍곡기하학을 연구 하기로 결심했다. “수업에 들어가지 않고 몇 개월간 자와 컴퍼스를 들고 도서관에 틀어박혀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구현하기 어려운 파마코포어 구조다. 기존 리보솜을 이용한 단백질 합성과정이
오직
펩타이드 결합으로만 이뤄진다는 사실을 뒤집은 결과다. 이준구 교수는 "단백질 번역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생화학분자들이 의외로 수정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새로운 의약품 합성 기술뿐만 ... ...
물만으로 전기 만드는 '수분 자가 발전'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원리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수분 자가 발전이라고 하는데 배터리를 갈아끼울 필요 없이
오직
수분만 이용해 친환경·저비용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휴대성이 중요한 웨어러블 기기와 도서 지역에 위치한 스마트 팩토리에 활용하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람은 거기서 거기"...나에게 어려운 건 남들도 어렵다
2022.12.03
다른 말로 “보편적 인간성”에 대한 깨달음이라고 한다. 나의 부족함과 어려움이
오직
나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임을 깨닫는 것을 말한다. 어려움 속에서 고립되는 것이 아니라, 어려울 때일수록 주변으로 눈을 돌려 다른 사람들의 고통에도 관심을 ... ...
인간을 원숭이와 구분케 하는 특정 뇌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전전두엽은 대뇌에 가장 앞쪽에 있는 뇌의 한 층(피질)이다.
오직
영장류만이 갖고 있는 영역으로 감정과 의식 활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뇌는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뒤쪽부터 발달하는데 전전두엽은 18~21세가 되어서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안을 느껴야 생존한다
2022.11.12
가능성들을 가급적 포괄적으로 떠올리는 것일 뿐, 나쁜 생각만 든다는 것이 곧 '미래에는
오직
나쁜 일만 생길 것'이며 '떠올릴 수 있는 모든 재앙이 닥칠 것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화재 경보기는 그저 정직하게 화재와 관련된 모든 단서에 반응할 뿐, 그러다 보니 고기굽는 연기에도 왱왱 ... ...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지방 새의 서식지, 기후보다 ‘생물종 경쟁’ 영향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화이트팁벌새의 모습을 22일 표지에 실었다. 화이트팁벌새는 넓은 열대우림 속에서도
오직
낮은 고도의 산 중턱에서만 발견된다. 화이트팁벌새의 서식지가 제한적인 이유를 두고 학계에서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 하나는 고도가 조금만 달라져도 기온조건이 변하는 아마존 환경 속에서 가장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