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울
뉴스
"
얕은 곳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독한 사냥꾼' 전기뱀장어도 무리 지어 협력 사냥
연합뉴스
l
2021.01.15
열대어
얕은
곳
몰아넣고 2~10마리 동시 전기 충격 최대 8천600V 방전…전구 100개 켤 수 있는 전력 [L. Sou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기뱀장어는 먹이 활동을 혼자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밤에 잠자는 물고기에 몰래 접근해 순간적 방전으로 감전시켜 꼼짝 못 하게 만든 뒤 잡아먹는다. 그러나 ... ...
멸종위기종 해마 독도 주변에서도 산다
2020.12.23
유일하게 남해를 포함한 모든 한국 해역에서 발견된다. 해마는 바다의
얕은
곳
에서 해조나 해초 사이에서 숨어지내기 때문에 바다 환경이 변하는 것에 민감하다. 이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는 해마를 통해 그 지역의 해양 생태를 확인하는 '깃대종'으로 삼고 있다. 울릉도 북서쪽 현포항 인근에 ... ...
추석 연휴, 응급실 찾는 환자 크게 늘어…화상환자는 평소의 3배
연합뉴스
l
2020.09.29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연휴(9.12∼15) 나흘간 전국의 응급의료센터 162
곳
에 내원한 환자는 약 11만3천명이었다. 하루 평균으로 계산해보면 약 2만 ... 것으로 집계됐다. 응급실을 찾는 이유로는 감기, 두드러기, 장염, 염좌,
얕은
손상, 열, 복통 등이 꼽혔다. 특히 두드러기로 응급실을 찾는 ... ...
[과학촌평] 비전문가 득세하고 전문가는 침묵하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얼마전 과학기술 분야와는 관계없는
곳
에서 일하는 지인이 대뜸 물었다. 4차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인공지능(AI) ... 관련 이슈를 좇으며 취재해 온 경험과 취재원에게 들었던 사실을 토대로
얕은
지식을 동원한 설명도 곁들였다. 인공지능이 주목받기 시작한 초창기에 많은 직군들이 조만간 사라질 ... ...
'3D처프' 바다 밑에 가라앉은 해저 유물을 보여줘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선박이나 도자기를 실었던 선박이 자주 침몰한
곳
인 만큼 역사적 유물 흔적이 확인된
곳
으로 문화재 탐사 가치가 크다”고 밝혔다. EOS ... 저수심 해역의 3차원 해저 지질구조와 해저 바닥
얕은
지역에 묻힌 물체를 고해상도 영상으로 나타내는 기술"이라며 "원래 해저 지질 조사 목적으로 ... ...
명량해전 수중문화재, 해저 탄성파 기술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그만큼 관련 유물을 포함한 역사 흔적이 확인된
곳
으로 문화재 탐사 가치가 크다. 하지만 ... 통해 다량의 도자기와 전쟁유물 등을 발굴한
곳
이다. 지질연 포항지질실증연구센터 연구진과 ... 저수심 해역의 3차원 해저지질구조와 매우
얕은
지역의 매몰체를 고해상도로 영상화할 수 있는 ... ...
해남서 이달만 33번 지진...전문가 "정확한 발생위치 밝혀 큰 지진 올 지 분석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군발지진은 보통 단층이 잘 발달돼 있는
곳
에서 발생한다”며 “굉장히
얕은
깊이에서 발생하는 것도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홍 교수는 “군발지진은 자주 발생하는 현상은 아니다”며 “특히 한반도 지역처럼 응력이 쌓이는 속도가 느린
곳
은 군발지진이 잘 발생하지 ... ...
"9월 포항서 일어난 규모 2.3 지진은 포항지진 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지목된 지열발전소 부지의 남서쪽 약 3.3 km 지점에서 발생한데다 비교적
얕은
깊이에서 발생해 민감한 사람은 느낄 수 있는 수준이었다. ... 원인을 분석했다. 현재 포항 지역에는 부산대가 설치한 임시관측소 18
곳
과 부경대와 서울대가 공동 설치한 임시관측소 16
곳
이 설치돼 지진 자료를 ... ...
우주탐사 전초기지 될 달서 물 더 많이, 더 쉽게 확보 가능
연합뉴스
l
2019.07.25
2024년 첫 착륙 목표지를 남극으로 정한 것도 이
곳
의 크레이터에 얼음층이 있어 물을 확보할 수 ... 연구팀은 이를 통해 달의 지름 대비 깊이가
얕은
남극 주변 크레이터에 쌓인 물질 역시 얼음일 ... 날아가고 태양풍의 영향으로 물분자도 새로운
곳
으로 옮겨간다는 것이다. 달 표면에 떨어지는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이번에 화석이 나온 지층은 21억 년 전에는
얕은
바다 또는 물가로 대기와 물을 모두 접할 수 있는
곳
이다.
얕은
바다는 미생물이 뭉쳐 있어 먹이도 풍부하다. 다만 현재의 다세포 생물이 이번에 발견된 화석 속 생물의 직접적인 후손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생물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