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험물
나무
사주
모래톱
화근
작은 섬
scar
뉴스
"
암초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초식 어류가 줄어든 것입니다. 초식 어류는 식물인 조류를 먹는데, 조류는 산호가 자라는
암초
를 두고 산호와 경쟁하는 관계입니다. 초식 어류 감소로 조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산호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산호초 지대엔 먹이가 풍부해 해양 생물종의 25%가 살고 있습니다. 산호초가 줄어들면 ... ...
[팔라우 힐링레터] 아빠의 육아 일기 '파이프 피쉬'
2018.07.22
낮에는 어두운 곳을 찾아 포식자로부터 피해 몸을 숨기고 살아간다. 주로 산호나
암초
밑에 보금자리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다가 짝짓기 철이 되면 암컷이 수컷의 육아낭 속에 알을 산란하고 수컷은 배 밑에 알들을 붙여서 부화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아빠의 육아 일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 ...
[팔라우 힐링레터] 엉덩이를 흔들어봐~ 할리퀸 피쉬
2018.07.15
열심히 엉덩이를 흔들며 다닌다. 대부분 유어들과 마찬가지로 낮에는 주로 산호 밑이나
암초
안에서 몸을 숨기고 생활하며 주로 야간에 활동을 한다. 제임스 정 제공 해질녘에 수심이 낮은 물 속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성어로 자라면 더 이상 몸을 흔들며 움직이지 않고, 온몸의 ... ...
[팔라우 힐링레터] 복서의 꿈, '복서새우'
2018.06.24
없다. 하지만 사각의 작은 링이 권투 선수의 세계인 것처럼 이들 복서새우도 작은 산호
암초
가 평생 삶의 터전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이 평생 천적에 맞서 스파링 연습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아닐 까 하는 상상을 잠시 해 본다. ... ...
[스타트업 성공의 가설] 악플 안녕~소셜댓글 정착시킨 시지온의 성공방정식
2018.04.02
꼭 필요하다고 정부를 설득한 거죠." 라이브리가 막 성장을 하던 그 시기, 생각지 못한
암초
를 만났다. 방통위는 라이브리를 위법으로 판단했고 소셜댓글에 대한 법적 제재를 발표했다. 시지온이 대응책을 찾지 못해 갈팡질팡할 때 고객사인 언론사들이 나섰다. 라이브리를 설치한 언론사 디지털 ... ...
암초
많은 깜깜이 얕은 바다, 해저 지형 측정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수심이 얕은 바다 밑 바닥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돼 시연에 성공했다. 신동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방위연구센터장 연구팀은 중대형 관측선이 접근할 수 없어 측정이 불가능했던 수심 1m 내외 연안의 해저 지형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신동혁 한국해 ... ...
[팔라우 힐링레터] 나 떨고 있니? 맹독 품은 '파란고리 문어'
2018.03.11
몸집은 작지만 아주 위험한 맹독을 가지고 있다. 주로 남태평양 바다의 산호와
암초
에 살면서 갑각류나 어패류를 먹이로 살아가고 있다. 온몸에 작은 푸른 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색상이 자유자재로 변하기도 한다. 이들은 복어와 같은 독성을 갖고 있어 사람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 ...
[카드뉴스] 낭만과 함께 등대도 사라지는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12
해가 진 후 칠흑같이 어두운 밤바다에서 등대 불빛을 지표로 선박의 방향을 잡아주고
암초
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등대의 빛은 주변으로 퍼지기보다는 멀리까지 잘 도달하는 직진성이 중요합니다. 등명기라는 조명기구의 주위를 프레넬(평면) 렌즈로 감싸 빛을 평행광선으로 ... ...
멸종위기 산호발견, 한국에도 산호가 많았던 때가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9.13
바다에 산호의 분비물이나 뼈가 쌓여 수 천년에 걸쳐 생성되는 단단한
암초
지대다. 이런
암초
지대가 형성되려면 딱딱한 탄산칼슘성 골격을 가진 돌산호가 군집을 이뤄야한다. 수온과 탁도, 염도에 민감한 돌산호가 살기에 한국의 바다는 적합하지 않았다. 돌산호와 연산호는 조류와 공생하는 ... ...
[카드뉴스] 선홍빛 자태의 특별한 맛 참돔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비롯해 성게, 불가사리까지도 잡아먹습니다. 참돔은 수심 30~150m의 비교적 먼 바다의
암초
지대에 살다가 산란기인 4~6월경 얕은 바다에서 알을 낳습니다. 치어는 늦가을에 남쪽으로 떠났다가 이듬해 봄 서서히 북상을 시작합니다. 참돔 :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가 검다. 다 자라면 1m에 12kg이 넘는다.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