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뉴스
"
성층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과학기구를 사용한 최초의 실험이었다. 오늘날 과학기구의 활동 영역은 대류권,
성층
권을 넘어 더 먼 우주로 확장되고 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4월, [기획] 풍선에 매달린 과학, 고고도 ... ...
석상일 UNIST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석상일 에너지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이 페로브스카이트 광활
성층
반도체의 결정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과 원리를 발견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석 교수팀은 이 원리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에 ... ...
美 공군이 격추한 풍선…"상업·연구용 풍선일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미국 미사일에 의해 격추되는 중국 정찰풍선. 미 해군연구소 트위터 캡처 미국 정보당국이 최근 격추한 3개의 미확인 비행체가 상업·연구용 풍선일 ... 나라는 미국뿐만이 아니다. 제네바에 기반을 둔 세계기상기구 193개 회원국도 정기적으로
성층
권에 풍선을 보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 ...
미국이 격추한 중국 풍선 정체는..."폭발물 실렸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풍선은 운용 비용이 100분의 1에서 10분의 1로 저렴하다. 인공위성은 크기에 제한이 있지만
성층
권 풍선은 지상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그대로 띄울 수 있다. 언제든 회수하거나 반복해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런 장점 때문에 최근 풍선은 정찰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찰용으로 쓰던 ... ...
"네일아트에 쓰이는 UV램프, 피부암 원인 세포 변이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10~400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인 전자파다. 280nm 이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은 일반적으로
성층
권 오존층에 의해 차단된다.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파장 범위는 280~400nm인데 인간 피부에 미치는 영향과 DNA 손상을 유도하는 정도에 따라 다시 분류된다. 앞서 국제보건기구(WHO)의 국제 암연구기구 ... ...
[주말N수학]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수학동아
l
2023.01.14
위성과 지상의 통신은 수직으로 최소 몇백 km에 걸쳐 일어난다. 그 사이에는 대류권과
성층
권을 포함하는 대기가 있다. 대기 속에 항상 존재하는 난류는 레이저 광선이 원래 예측했던 직진 경로를 벗어나 흔들리게 하는 원인이 된다.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진 경로로 통신하고자 등장한 것이 ... ...
북한 드론에 '화들짝'...전문가들 "한반도 전역 들여다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관측용으로 위성보다 가까이서 지구 표면을 관측한다”며 “태양전지를 사용해 한달 간
성층
권에 머물 수 있도록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 위성 활용한 조종도 가능..."드론만으로 한반도 전체 들여다볼 수 있어" 이번에 국내 영공을 침범한 북한 드론은 크기가 약 2m에 고도 3km에서 시속 약 10 ... ...
英 최초 위성 발사 '미완의 시도'..."발사체, 궤도 진입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진입하는 데 실패했다고 밝혔다. 공중 궤도 발사는 항공기에 발사체를 실은 후
성층
권 이상 고도에 올라 발사하는 방식이다. 지구 중력을 벗어나는 데 필요한 힘이 적게 드는 만큼 발사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부각된다. 론처원은 길이 21m인 2단 발사체로 500km 고도의 저궤도에 500kg의 ... ...
바다 식물 플랑크톤, 기후변화 막는 방어막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가 일어난다. 식물 플랑크톤은 영양염과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이용하는데 해양이
성층
화되면 심층부에 풍부한 영양염이 표층부로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지구온난화가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를 줄인다는 의미다. 이전의 연구를 통해 표층부에 영양염이 고갈되면 식물 플랑크톤의 생산성이 ... ...
英 우주공항 첫 운용 대기...최초 공중발사 시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진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중 궤도 발사는 항공기에 발사체를 실은 후
성층
권 이상 고도에 올라 쏘는 방식이다. 지구 중력을 벗어나는 데 필요한 힘이 적게 드는 만큼 발사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론처원은 길이 21m인 2단 발사체로 500km 고도의 저궤도에 500kg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다. 버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