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존
존속
뉴스
"
살아남기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늘 할 일의 70%라도 해냈다면 성공했다고 기뻐하자
2021.10.09
처리해도 성공했다"고 생각하고 나면 짓눌리는 느낌이 훨씬 덜한 것이 사실이다. 물론
살아남기
위해 70% 이상을 처리해야만 하는 날들도 있겠지만 분명 그렇지 않은 날들이 더 많을 것임을 상기하자. 일의 가지 수를 줄일 수 없다면 '질'을 조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꼭 필요한 몇 가지를 열심히 하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
2021.09.09
이유가 연구자로서의 카리코의 능력 때문이 아니라, 그가 현재의 왜곡된 과학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연구 이외의 기술에 능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즉, 현재의 과학 생태계는 연구자에게 연구 이외의 다양한 능력을 지나치게 많이 요구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 ...
항암치료 방해하는 암세포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암이 다른 기관에 전이되거나 재발하는 고통을 겪는다. 암 줄기세포가 항암제 공격에도
살아남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환자마다 수술 전에 항암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훨씬 유리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바이오마커를 찾아왔다. 남 교수팀이 주목한 CD45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면역세포 ... ...
[인터뷰]"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는 사라진다" 뇌 공학자가 그린 도시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08.28
갖춘 도시가 좋은 도시다. 물리학적으로 말하자면 ‘복잡계’로서의 도시다. 생명은
살아남기
위해 자체의 복잡성을 늘리면서 복잡하게 바뀌는 환경을 감당한다. 도시를 설계할 때에도 이런 접근이 필요하다. Q. 다양성과 복잡성을 도시계획에 어떻게 현실화시킬 수 있나. 사람의 이동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mRNA 백신과 진화
2021.08.12
놓은 ‘미친 과학자’의 이미지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논문 무한경쟁의 생태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과학자의 현실과 지나치게 멀다. 아이러니는 영화와 현실의 괴리에서가 아니라, 현실이 영화를 따라가는 우스꽝스러움 속에서 발생한다. 논문 한 편을 출판하기 위해 동료들과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8억 9000만 년 전 지구는 극도로 낮은 산소 농도와 차가운 온도를 가져 현생 동물이
살아남기
힘든 환경이기 때문이다. 터너 교수는 “해면이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 남세균 옆에 있어 미생물 암초 틈에서 생활하며 저산소 환경에서 생존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콜라겐 가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사람은 더위를 어디까지 견딜까
2021.07.20
한 세대 전만 해도 에어컨은 부유한 가정을 상징하는 가전제품이었지만 이제는 폭염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폭염이 지속되는 동안 에어컨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다. 위키피디아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 ... ...
남극에 온실을 지었다...지구서 조종하는 우주인용 식물 재배 시스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SF영화 ‘마션’에서는 화성에 홀로 남겨진 주인공이 부족한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살아남기
위해 감자를 재배하는 장면이 나온다. 직접 온실을 만들어 화성 흙에 감자를 재배하는 설정이지만 현실에서 구현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특히 달이나 화성에 장기간 체류할 우주인은 거주공간을 관리하고 ... ...
캐나다 호수 부근서 발견된 다이아몬드가 말했다…“27억년 전 지구도 살만 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있다. 이승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초기 지구는 생명체가
살아남기
어려운 행성이었지만 점차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행성으로 바뀌었다”며 “27억 년 전이라는 매우 오래된 고대 암석 자체가 발굴하기 힘든 만큼 이를 발굴해 당시 지구 환경을 추정한 것만으로도 ... ...
"공룡, 추운 북극권서도 번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휴면 상태에 빠지게 된다. 연평균 기온이 6도에 겨울이 4개월간 지속되는 극지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실제 저위도 지방에서 쉽게 발견되는 냉혈동물인 뱀과 개구리, 거북이 뼈는 극지방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새끼 공룡뼈를 찾은 것은 황금광을 찾는 것과 같은 작업에 가까웠다. 연구팀은 201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