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민간"(으)로 총 2,9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적 석학 3명 KAIST 온다동아사이언스 l2025.06.27
- 일환(Technology Transfer Program)인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우주탐사 기술의 민간 확산에 기여한 연구자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단 35명만 선정된 매우 드문 영예이다. 최 교수는 2024년 9월 항공우주공학과에 부임한 김현정 부교수와 협력해 에너지원, 센싱, 우주 ... ...
- 과기연구노조, AI 편중 인선 우려…"AI, 타 분야와 상생해야"동아사이언스 l2025.06.24
- 이어 “다양한 정부 위원회 활동 경험은 있지만 공직과 공공부문의 경험이 없는 민간 출신이라는 점에 대한 우려도 있다”며 “하정우 수석과 배경훈 장관 후보자는 AI 분야의 발전이 다른 연구개발 분야 및 산업 성장과 함께할 때 가능하다는 사실을 잘 새기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지난 ... ...
-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LG 초거대 AI '엑사원' 만든 전문가동아사이언스 l2025.06.23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제공 23일 이재명 정부의 첫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배경훈 후보자는 ... 공로로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민간위원, KOSA AI정책협력위원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 ...
- 누리호 1기 더 만들어 국방위성 2기 쏜다…'누리호 헤리티지' 사업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5.06.22
- 전혀 이뤄지지 못했다"며 "누리호에 적용되는 국제무기거래규정(ITAR) 해소 필요성과 함께 민간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000억원으로 일률 책정된 우주물체 발사자 책임제한액 등도 현실화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
- [사이언스게시판] IBS, '한국-프랑스 기초과학 리더십 포럼'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6.20
-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이 주관기관으로 과제를 제안하고 민간 전문기업이 수행하는 방식이다. 선정된 과제는 수행기업 조달 계약을 통해 본격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 ...
- '원전 해체 시장' 진출 교두보…국내 첫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임박동아사이언스 l2025.06.19
- 해체 사례만 있다. 미국은 원전 해체를 전문으로 하는 에너지솔루션(EnergySolutions) 등 민간 기업도 2개 있다. 고리 1호기 해체계획이 승인되면 전체 해체 기간은 최대 15년으로 예상된다. 90년대 이후 미국 경수형 원자로 해체 사례를 참고한 예상치다. 해체된 원전 부지는 주로 녹지나 가스화력발전, ... ...
- 이노스페이스, 3D프린팅 기반 발사체 부품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5.06.19
- 구축된 이노스페이스 화성캠퍼스에 있는 첨단제조사업본부 전경. 이노스페이스 제공 민간 우주 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는 독자적인 3D프린팅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 발사체 엔진과 핵심 부품 생산을 위해 첨단제조사업본부를 신설하고 발사 서비스, 사업화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고 19일 ... ...
- 소형모듈원자로 안전성·경제성 놓고 맞붙은 원자력학계·환경단체동아사이언스 l2025.06.19
- 통해 환경운동연합 성명서 내용을 반박했다. 앞서 6월 12일 황 의원은 SMR 개발을 촉진하고 민간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SMR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다. 환경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은 13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SMR의 경제성과 안전성 측면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SMR은 ... ...
- [사이언스게시판] KIST-포스텍,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5.06.17
- 혁신 전략을 공유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 지방 연구기관,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를 논했다 ... ...
- 우주청, 외산 의존 드론 부품 국산화…생태계 경쟁력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25.06.17
- 특히 기체 및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 공급망 불안정, 파편화된 연구개발(R&D) 구조, 민간 시장과 정책 간 연계 미흡 등 현재 드론 산업·정책·기술개발 체계의 한계를 짚었다. 글로벌 수요 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향 전환과 함께, 부처 간 긴밀한 협력 체계와 R&D 시스템의 개편 필요성을 제시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