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국 의대, 의대생 유급 유지하되 2학기 복귀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1학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유급 대상 8000여명을 원칙대로 유급 처분하기로 했다.
다만
2학기 수업을 듣고자 하는 학생에게는 학칙 변경 등을 통해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의대생 학적에 유급 기록은 남지만 1학기 수업은 방학 등의 시간을 이용해 이수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 ...
의정갈등 1년 반 긴 터널 끝자락?…전공의 복귀·의대 정상화 과제 '첩첩산중'
2025.07.14
내비쳤다. 1년 5개월 이상 장기화된 의정 갈등이 끝을 맺을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다만
의대생이 수업에 복귀하려면 학칙 개정, 형평성 논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전공의들은 전문의 시험, 입영 연기 등 복귀를 위한 조건을 내걸고 있다. 의대 교육 및 전공의 수련 정상화를 위해선 당분간 ... ...
근육·신경에 직접 연결된 의족…장애물 넘고 공도 찬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실험 참가자가 의족을 착용하고 걸으면서 장애물을 넘고 있다. MIT Media Lab 제공
다만
, 피셔 리 미 피츠버그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한 논평에서 "하지 절단 환자의 70~80%는 외상이 아닌 당뇨병 등 혈류 장애와 관련됐다"며 "이런 환자들은 OMP 같은 골융합 방식에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 ...
"팔리는 핵융합로, 국가 주도 개발 어려워…민간 제조역량 살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13
필요가 있다. 원자력 측면에서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된 원전은 서둘러 지어야 한다.
다만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무리수다. 부지를 새로 확보해야 하는데 이해관계가 복잡해 많은 사람들이 충돌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정책에서 한국보다 영토가 ... ...
올 여름 지구 자전 빨라져 하루 시간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갑자기 1초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다만
올 여름 지구 자전 속도 변화로 나노초 이상이 짧아지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아무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이클 워터스 NMI 시간주파수 책임자는 "1밀리초 차이는 인간의 눈과 뇌로 느낄 수 없는 ... ...
미국서 양식되는 태평양산 굴 최대 90% 파괴…바다 산성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내성이 있는 굴을 사육하는 것도 해양 산성화의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다만
해양에 화학적 변화를 가하는 것은 다른 생물종과 바다 환경에 의도치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바다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패류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 ... ...
50년 러브버그 연구 美 곤충학자 "살충제 효과 없다…출현 패턴 파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이동하지 않는다. 비행 능력이 너무 떨어져서 바람을 타고 다니다가 장애물에 부딪힌다.
다만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군무(swarm)를 이루며 경쟁하는 행동을 한다. 또 주행성 곤충으로 밤에는 날지 않기 때문에 빛을 이용한 트랩도 효과가 없다. 빛을 특별히 좋아하지 않는다." Q. 플로리다에서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사용되고 있다. 공항과 항공사는 이런 시스템을 통해 날씨 현황을 즉각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현재는 난기류의 유무만을 예측 가능하다. 이런 예측이 빗나가면 난기류가 없다고 판단된 항공편도 예상치 못한 난기류와 마주할 수 있다. 항공기상청은 퍼센트(%) 확률로 난기류 발생 여부를 보다 ... ...
한국, 세계 최고 정밀 길이 측정기술 확보…국제표준 주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긴 거리를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다는 편리함 덕분에 대부분의 산업 현장에서 활용된다.
다만
길이측정표준기보다 상대적으로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KRISS 길이형상측정그룹 연구진은 '광 주파수 빗(Optical Frequency Comb) 간섭계'를 이용해 기존 두 측정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했다. 파장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룰수 없는 의대생·전공의 복귀…볼썽사나운 특혜 논란
2025.07.02
1일 서울 시내 한 의대. 전국 의대들은 전날부터 복귀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다만
대부분은 대면 수업 대신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연합뉴스 제공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지명자가 1년 5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을 조속히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의료계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