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몰
해넘이
일락서산
뉴스
"
낙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04.04
이런 경우 배신을 당한 박쥐는 주변 박쥐들에게 배신자의 존재를 알립니다. 배신자로
낙
인 찍힌 박쥐는 사회의 다른 일원들에게 어떠한 이득도 받지 못하고 사회적으로 격리되죠. 인간 사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동물처럼 표나게 왕따를 시키진 않지만 배신자의 평판을 하락시키는 방법을 ... ...
깡마른 아프리카 아이에게 물을 주는 여성
팝뉴스
l
2016.02.17
고문을 당하거나 버림받아 치명적인 고통을 겪는다고 말한다. 그 아이들은 마녀라고
낙
인 찍혀 가족들로부터 버림을 받는다. 가족과 희망을 모두 잃은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아냐 링그렌 로벤은 가진 것을 모두 팔고 현지에서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사진 속 아이가 어떤 일을 겪었는지 ... ...
토종벌꿀, 로열젤리 만드는 유전자 밝혀졌다
2015.01.20
안팎을 들
낙
거리는 토종벌들. -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토종벌의 게놈 전체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로열젤리나 벌꿀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물론 전염병 예방에 필요한 면역 관련 유전자까지 밝혀져 위기에 처한 양봉 농가에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권형욱 서울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 과학계 10대 뉴스가 궁금하다면…
2014.12.21
성공적으로 착륙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군집로봇 시스템을 개발한 ‘라드히카
낙
팔’도 올해의 인물에 이름을 올렸다. ‘사이언스’와 ‘네이처’ 모두 올해의 핫이슈로 ‘로제타’ 탐사선과 군집로봇을 뽑은 셈이다. 그 외에도 네이처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로는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인 ... ...
2014년을 달군 과학계 10대 인물
2014.12.18
공로를 인정받았고, 수잔 토팔리안 교수는 면역세포를 암치료에 도입했다. 라드히카
낙
팔 하버드대 교수는 개미 군집처럼 움직이며 함께 일하는 인공지능 로봇 시스템을 만들어 주목받았다. 그밖에도 아시아 최초로 화성탐사선 망갈리안을 화성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한 인도우주개발기구 ... ...
국운(國運) 건 각축전, 아시아 국가 달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4.11.28
호’가 옥토끼란 뜻의 월면차량인 ‘위투’를 달 표면에 사뿐히 내려놓으면서 2단계인 ‘
낙
’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달 1일에는 2017년 발사 예정인 ‘창어 5호’의 시험선을 달 근처로 쏘아 올린 뒤 다시 지구로 귀환시키는 실험에도 성공했다. 완성 단계는 아니지만 이미 3단계 ‘회’의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한다. 우울증 환자는 병 자체가 주는 괴로움 뿐 아니라 ‘정신병 환자’라는 사회적인
낙
인까지 감당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고 말한다. 난치성 질환인 암의 경우 지난 수십 년간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가 진행되면서 원인 규명은 물론 치료법도 많이 발전했다. 반면 우울증의 경우 ... ...
혜성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지난 11월 5일은 미국의 천문학자인 프레드 휘플 박사가 태어난지 106주년이 된 날이다. 그가 하버드 대학의 천문학 교수로 일하던 1950년대 초에 '혜성 모형'이라는 제목으로 저명한 천문학 학술지인 '아스트로피지컬 저널(Astrophysical Journal)'에 기고한 세 편의 연작 논문은 우리가 혜성을 이해하는데 ... ...
인간,컴퓨터,자연... 과연 우리의 미래는?
동아사이언스
l
2013.10.06
이고 '충격적'인 내용을 책에 담았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공포를 조장하는 비관론자'로
낙
인 찍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현재를 잘 이해하면 미래를 더 대처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기후학자들이 알고 있는 기후변화의 진실을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그는 영화에서만 ... ...
“가족보다 스마트폰” 청소년 6명중 1명 중독
동아일보
l
2013.07.04
즐긴다. 특히 화장실 안에서 그리고 길 걸어가며 즐기는 폰 게임은 홍 군 일상의 가장 큰
낙
(樂)이다. 홍 군이 이토록 스마트폰을 끼고 사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다소 충격적인 대답을 내놓았다. “요즘 스마트폰만 있으면 세상에 못 하는 게 없잖아요. 솔직히 가족이나 친구 없이는 살아도 이젠 ... ...
이전
1
2
3
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