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양이
뉴스
"
나비야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찾는 생명, 더불어 사는 지구!"… 지구사랑탐사대 12기 발대식 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15
지구사랑탐사대 제 12기 발대식 현장.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지구사랑탐사대 제12기 발대식이 13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렸다. 지구사랑탐사대는 동아사이언스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생태 연구 시민과학 프로젝 ... ...
나비도 외모 보고 배우자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붉은 색의 날개를 가진 개체를 짝짓기 상대로 선호하는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 나비가 꽃 위에 앉아 있다. CAROLIN BLEESE 제공 나비들이 짝을 선택할 때 마치 사람처럼 시각적 정보인 외모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비에게서 특정한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 작용도 함께 규명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붉은 색과 노란 색의 화려한 날개를 자랑하는 나비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의 모습을 실었다.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꽃인 프시구리아에 앉아서 꿀을 빨고 있다. 이 나비는 화려한 겉모습에 걸맞게 독특한 취향을 갖고 있다. 짝짓기를 할 배 ... ...
문어에서 발견한 3억8000만년 전 성염색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캘리포니아 두점문어(O. bimaculoides)는 17번 염색체가 2개면 수컷, 1개면 암컷이다. 위키미디어 제공 생물학자들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형태의 성염색체를 문어에게서 발견했다. 3억8000만 년 전부터 문어의 성별을 결정해온 유전자를 찾아낸 것이다. 앤드류 컨 미국 오레곤대 생명과학 ... ...
[과기원NOW] 포스텍,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1
POSTECH 연구팀이 개발한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로 쥐 복부를 관찰한 모습. POSTECH 제공 ■ 포스텍은 김철홍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초음파-광음향 시스템’이 갖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고 우수한 성능의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초음파-광음향 시스템은 체내 조 ... ...
비전AI·우주재료·수리…KAIST, 선후배 협업 ‘초세대 협업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KAIST 전경. KAIST 제공. 선배 교수와 후배 교수가 협업 연구를 하는 KAIST의 ’초세대 협업연구실‘이 추가 개소했다. KAIST는 권인소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의 ‘비전중심 범용인공지능 연구실’, 김천곤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의 ‘우주·극한 환경 재료 및 차세대 공정 연구실’, 변재형 수리과학과 ... ...
환경오염 물질이 꽃향기 분해…곤충, 꽃 못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오염물질이 꽃 향기를 분해해 곤충의 후각을 교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etland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환경오염이 후각에 의존하는 곤충의 활동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궁극적으로 생태계와 농업까지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제프 리펠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교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항생제.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의 정상세포는 30회 정도 분열을 하면 더 이상 생존하지 못하고 스스로 죽어 없어지는 것이 자연 현상이다. 그러나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면 죽어 없어지지 않고 거의 무한대로 자라나게 된다. 암세포는 주변 조직으로 침입해 들어가므로 결과적으로 정상세포와 ... ...
청소년 다이어트제 '나비약' 불티…중독성 높아 정신이상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지난해 급증한 국내 청소년 마약류 사범 건수의 대부분은 향정신성의약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나비를 닮아 일명 '나비약'이라고 불리는 펜타민 성분의 식욕억제제가 청소년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청소년 마약 중독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2일 대검찰청이 공개 ... ...
"갑상선 호르몬 과잉, 인지 장애 위험"
연합뉴스
l
2023.11.30
연합뉴스 제공 갑상선 호르몬 과잉은 원인과 관계없이 인지장애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갑상선은 목 밑에 있는 나비처럼 생긴 샘으로 우리 몸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낸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 의대의 로이 애덤스 정신의학·행동과학 교수 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