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질
성격
본성
천성
체질
성벽
소질
뉴스
"
기질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전기 만들어 세포 배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전기자극 없이 배양했을 때보다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반월상 연골의 주요 세포외
기질
인 1형 및 2형 콜라겐,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함량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 손상되면 자연 회복이 어려운 반월상 연골세포의 성장·회복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란 평가다. 연구를 ... ...
미생물 이용해 자스민향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꾸준히 향을 만들어내는 공정을 고안했다. 벤질아세테이트 생합성 효소의
기질
비특이성으로 인한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지연공생배양 전략. KAIST 제공 연구팀은 2종류 이상의 미생물을 혼합해 동시에 배양하는 기술인 ‘공생배양’을 이용했다. 공정 초반엔 포도당으로부터 ... ...
다리 괴사·절단 막는 ‘줄기세포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5
이식이 쉽고 균일한 세포분포도를 갖는 다공성 3차원 조직체를 만들었다. 세포외
기질
의 구성성분인 콜라겐은 생체적합성과 세포 활성이 우수하다. 또 마이크로 단위로 가공한 콜라겐 하이드로젤 입자인 마이크로젤과 줄기세포 내 콜라겐 수용체 간 상호작용은 세포의 자기조립을 유도할 수 있다. ... ...
나노물질 인체 독성, ‘인공장기’ 오가노이드로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오가노이드를 기존 방식으로 3일간 초기 배양해 세포외
기질
돔을 제거했다. 이어 세포외
기질
을 5% 농도로 섞은 배양액에 부유 배양해 나노물질의 독성을 테스트했다. 간 독성물질인 산화아연 나노입자(ZnO NPs)와 독성이 없는 금나노입자(AuNPs)를 처리해 비교한 결과 기존 배양법과 달리 각 물질의 독성 ... ...
'돼지 뇌' 이용해 난치성 뇌 질환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실제 ‘뇌에서 유래한 ECM’(BdECM)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사람 뇌는 수급이 어렵고
기질
을 만드는 공정인 탈세포화 과정의 수율도 매우 낮다. 연구팀은 돼지에서 유래한 BdECM(P-BdECM)에 라미닌을 강화해 뇌의 미세한 환경을 재현했다. 라미닌은 탈세포화 과정에서 유실되는 단백질 중 하나로 ... ...
위암 환자 맞춤형 치료 구현될까…3D 바이오 프린팅 '오가노이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이 오가노이드 모델은 콜라겐 등 위 특이적인
기질
단백질이 풍부한 탈세포화 세포외
기질
을 사용해 만들었다. 세포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높았고 실제 위암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환자별 VOM을 제작해 약물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동일한 약물을 처리해도 환자 모델마다 다른 ... ...
뇌 전이 암 발병 원리 3D 프린팅 뇌혈관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못해 복잡한 뇌혈관을 모사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뇌에서 유래한 탈세포화 세포외
기질
(BdECM)과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을 혼합해 하이브리드 BdECM을 만들었다. 이 잉크는 프린팅된 직후 빠르게 안정화돼 복잡한 뇌혈관 구조를 정교하게 인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잉크로 뇌혈관 ... ...
뿌리에 전기 자극하면, 식물 성장 속도 빨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26
연구팀은 수경 재배 환경에서 식물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재배
기질
’e농업(eSoil)’을 개발했다. 생물고분자물질인 ‘셀룰로오스’와 전도성 고분자물질인 ‘PEDOT'를 혼합해 이를 만들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e농업 환경에서 보리 묘목에 전기를 가하자, 전기를 가하지 않을 ... ...
상처에 생기는 딱지 제어한다…"치유 약·암세포 증식 연구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체내 환경 조건을 이해해야 한다. 연구팀은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해 피부 세포외
기질
의 엘라스틴 양이 20%일 때 섬유아세포의 분화가 가장 활발함을 확인했다. 엘라스틴의 정상치는 10%로, 이 수치가 높아지면 생체조직의 탄성이 높아진다. 섬유화 현상 조절에 주변 미세조직의 성분 변화가 ... ...
[과기원NOW] KAIST, 생체 내 단백질 구조체 모사한 '금속 필름'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17
에 지난달 18일 게재했으며 전면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세포외
기질
은 세포 밖에 존재하며 세포의 분화, 성장,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생체 조직과 기관의 구조적·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생체 구조물이다. 연구팀은 세포 구조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