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칼럼
뉴스
"
기고란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이후 인류의 응전...바이러스 변이 미리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코로나19 변이인 델타바이러스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대유행 사태에서 변이 바이러스는 감염 확산을 심화시킨 주범으로 여겨진다. 초기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치료제나 백신 효과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대 ... ...
[특별기고] ④백신 개발 정부지원금 삭감 계획 유감
2023.10.11
서유석 에스엘포젠 대표. 에스엘포젠 제공 최근 백신개발을 지원하는 한 R&D 사업단의 정부지원 예산이 대규모로 삭감됐다. 해당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결핵 백신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많은 바이오벤처 기업들이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한국에서 연간 3만5000여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결핵은 제2 ... ...
[특별기고] ③바이오벤처의 백신 R&D에서 정부 지원이 중요한 이유
2023.10.11
최덕영 인테라 대표. 인테라 제공 [편집자주] 전세계를 강타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유행 기세가 잦아들었다. 감염병 사태에서 뜨겁게 달아올았던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도 다소 꺾인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감염병 유행이 절정에 달했을 때 부각된 백신·치 ... ...
[특별기고] ②백신 임상 R&D, 선택과 집중 전략 필요하다
2023.10.10
조관구 큐라티스 대표. 큐라티스 제공 [편집자주] 전세계를 강타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유행 기세가 잦아들었다. 감염병 사태에서 뜨겁게 달아올았던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도 다소 꺾인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감염병 유행이 절정에 달했을 때 부각된 백신· ... ...
[특별기고] ①R&D예산 삭감은 '저수지 고갈'시키는 것
2023.10.10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월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 연구·개발(R&D) 제도 혁신방안과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편집자주] 전세계를 강타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유행 기세가 잦아 ... ...
폭염 이겨내는 간단한 방법…"도시에 '그늘'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7.30
미국의 한 도시에 설치된 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장마철이 끝나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본격 시작됐다. 지난 28일엔 무려 전국 81곳에 폭염특보가 발효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이 무더위를 버텨내려면 도시 곳곳에 '그늘'을 만드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의 도전과 한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사이언스지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는 인공지능(AI)을 다룬 논문과 리뷰 등 9편을 '스페셜 이슈'로 발행했다. 표지에는 AI라는 거대한 단어와 함께 ‘A MACHINE-INTELLIGENT WORLD(기계 지능 세계)’라는 문구가 함께 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AI 등장과 기술 혁신으로 AI가 인간을 대체할지, 인간의 한계를 ... ...
[특별기고] '日 오염수 안전하다' 주장이 안먹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07.10
손상된 후쿠시마 제1원전 모습. 연합뉴스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의 방류 결정을 놓고 안전하다는 측과 위험하다는 측의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5월 말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운동연합의 여론조사에서 85%의 응답자가 방류에 반대했고 일본 정부의 발표를 불신한다는 의견이 79%에 달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70주년을 맞아 학술지 ‘네이처’는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기여를 재평가한 기고문을 실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올해는 1953년 DNA 이중나선 구조 규명 70주년이지만 조용히 지나갔다. 70은 10년 단위의 하나일 뿐 별다른 의미가 없는 숫자여서일 것이다. 아마도 서구권에서 수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인간 생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미로 속을 헤매며 골인지점의 난자에 도달하려는 정자들의 모습을 이번주 표지로 담았다. 어떤 정자는 상처가 난 듯이 붕대를 감고 있으며 어떤 정자는 돌연변이처럼 일반적인 정자와는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인간의 생식을 마음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