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045건 검색되었습니다.
北 핵폐수 조사결과 방사능·중금속 '이상 없음'…"매달 감시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비교해 기준 미만이거나 불검출로 확인됐다.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의 주요 7개 정점(중간
그림
에서 #3~5, #7~10)에 대해 월례 정기감시 시스템을 유지하고 관계부처 협의체를 지속 운영할 방침이다 ... ...
행성계 탄생 순간 첫 포착…"태양계 닮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7
퍼져나가는 모습(왼쪽)과 일산화규소가 고체 실리케이트 광물로 응결되는 과정을 묘사한
그림
. ESO/L. Calcada/ALMA(ESO/NAOJ/NRAO)/M. McClure et al. 제공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300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이동한 거리) 떨어진 오리온 B 분자구름에 위치한 젊은 별 'HOPS-315' 주변에서 나비 모양을 그리며 ... ...
10분이면 약물 '장전' 끝…엑소좀 치료제 상용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약물이 탑재된 하이브리드 엑소좀이 형성되는 과정을 실제 조제 방식과 함께 소개한
그림
. KIST 제공 연구팀은 '큐보좀'이라는 지질 나노입자를 활용해 거대분자 약물을 엑소좀에 쉽게 담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큐보좀은 세포막과 성질이 비슷해 엑소좀과 자연스럽게 융합할 수 있다는 점에 ... ...
[사이언스게시판] 국제 달의 날 기념 ‘돔 토크 콘서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행사, 정약전이 저술한 자산어보의 어류와 생물 관찰 기록을 인공지능(AI)으로 복원해
그림
을 보여주는 행사 등이 열린다.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go.kr)에서 각 프로그램별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주관하고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나뉜다. 입이 먼저 생기는 선구동물과 항문이 먼저 생기는 후구동물의 발생 과정을
그림
으로 나타냈다. YassineMrabet (W) 제공 구멍의 유무는 생물을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동물을 척추의 유무에 따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나누기도 이전 구멍의 유무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 ...
인류 최초 관측 'M87 블랙홀' 찌그러진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안달루시아 천체물리연구소 연구원은 "차세대 EHT 관측과 우주망원경 임무를 통해 블랙홀
그림
자 구조에서 중력과 회전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진정한 중력 신호만 분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조일제 관측인프라운영본부 KVN센터 연구원(연세대 ... ...
리튬이온보다 저장용량 5배 리튬황배터리 약점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원자 제어 도핑으로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촉매 흡착 에너지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
.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황배터리의 음극 촉매를 개선해 안정성과 수명 난제를 해결했다.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배터리공학과 교수와 지준혁 화학공학과 ... ...
양자컴 초전도 큐비트 최장 시간 안정 유지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시간이 긴 초전도 방식(트랜스몬) 큐비트로 만든 양자프로세서를 표현한
그림
. Alexandr Kakinen 제공 미래 전략기술로 주목받는 양자컴퓨터를 상용화하려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qubit)의 수를 늘려야 한다. 동시에 각 큐비트가 양자상태를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핀란드 ... ...
빛과 전자 초고속 상호작용 첫 확인…대면적 광전자 소자 개발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산화물의 응력을 제어해 빛과 전자 상호작용 방식을 이방성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
. GIST 제공 연구팀은 분자빔 에피택시(MBE) 기술로 타이타늄 산화물 기판 위에 원자층 단위로 성장시킨 루테늄 산화물 박막에서 기존 반데르발스 물질 수준의 광전자 이방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 ...
"7년이면 실험실에서 정자·난자 만들어…동성커플 자녀도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난자와 정자를 나타낸
그림
. 실험실에서 정자와 난자를 생성해 개인의 생식능력 여부나 성별, 나이와 관계없이 생물학적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체외 생식세포 생성(IVG) 기술 개발이 최근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실험실에서 정자와 난자를 생성해 개인의 생식능력 여부나 성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