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상관없는 경우를 기존의 광주기에서 '절대 광주기'로 고쳐 불렀고(낮 길이 변화는 지구
공전
궤도에 따라 정해져 있으므로), 광합성 산물이 식물의 세포호흡 요구량을 넘는 세기의 빛이 있는 기간에 '광합성 주기'라는 이름을 붙였다. 앞으로 식물학 교재 개정판이 나온다면 이번 발견에 대한 설명과 ... ...
24일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작은 ‘보름달’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달이 근지점을 통과할 때 달이 커 보이고 원지점을 통과할 때 작게 보인다”며 “달의
공전
주기는 양력의 1년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달은 매년 다르다”고 설명했다.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이 뜨는 시점은 10월 17일이 될 예정이다. 이때 뜨는 달의 크기는 ... ...
우주 비밀 담은 중력파 관측하러 우주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질량이 훨씬 큰 블랙홀 쌍성은 서로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병합되는데 이처럼
공전
궤도가 멀리 떨어진 채 충돌이 일어날 경우 저주파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질량이 더 큰 블랙홀들의 충돌을 관측하려면 저주파 영역의 중력파 검출기가 필요하다. 지상의 중력파 검출기는 지구 지진활동의 ... ...
천왕성·해왕성 실제 색깔 찾았다…"모두 옅은 청록색"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활용해 해왕성과 천왕성의 색을 가장 정확하게 재구성했다"며 더불어 "천왕성이 태양을
공전
하는 동안 왜 색깔이 변하는지 이미지 데이터와 정량적 모델링을 통해 밝힌 첫 연구"라고 전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않는다. 그래서 그레고리력의 1년은 평균 365.2425일이다. 계절의 변화는 지구 자전축이
공전
궤도에서 23.5도만큼 기울어져 있어서 나타나는 자연 현상이다. 북반구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고 있는 여름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아지고,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자전축이 태양에서 먼 ... ...
달 러시에 유성우까지…올해 주목되는 우주 이벤트
동아사이언스
l
2024.01.02
● 다양한 유성우도 밤하늘 수놓는다 이달 3일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올해
공전
과정에서 지구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시점이다. 3~4일에는 별자리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절정에 이를 예정이다. 국제유성기구(IMO)는 올해 유성이 비처럼 쏟아질 가장 강력한 유성우 ... ...
우주항공청법, 5일 국회 과방위서 재논의…연내 통과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2.05
논의하는 '2+2 합의체'를 신설했다. 우주항공청법이 논의 대상에 포함되면서 약 8개월 간
공전
해온 우주항공청법이 연내 통과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 ...
작은 별
공전
하는 '지구 질량 9배'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에 이르는 해왕성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LHS 3154b가
공전
하는 별인 적색왜성 LHS 3154는 태양 질량의 약 9분의 1 정도로 비교적 작은 크기였다. 기존 이론에 의하면 질량이 작은 항성의 궤도에는 지구 질량보다 큰 행성이 존재하기 어렵다. 별은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 ...
6개 행성 가진 ‘완벽한 태양계’ 발견…
공전
주기도 동기화
동아사이언스
l
2023.11.30
행성이 형성된다거나 큰 충돌이 일어나는 등 균형이 깨지는 여러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공전
주기 동기화가 유지되지 않는다. 지구가 있는 우리 태양계 역시 궤도 공명을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동기화가 깨진 행성계는 수학적 계산이 어렵기 때문에 우주가 진화해온 과정을 해독하는 데 많은 ... ...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로 불린 홍대용
과학동아
l
2023.10.28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서 지구는 스스로 돌면서(자전), 동시에 태양의 주위를 돌았다(
공전
). 그러나 홍대용의 지전설은 지동설과는 달랐다. 홍대용은 지구가 스스로 돈다(자전)고 생각했지만 이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돈다(
공전
)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홍대용의 주장을 지동설이 아니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