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치
만성
뉴스
"
고질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 나는 분뇨·음쓰, 고순도 메탄으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전처리 공정),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물 흡수법으로 제거해 바이오메탄을 생산한다(
고질
화 공정). 연구팀은 이 같은 기술이 동남아시아 바이오가스 산업에 최적화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동남아시아의 바이오가스 성질과 유사한 4000ppm 이상의 고농도 황화수소가 포함된 바이오가스에서 ... ...
“폭발위험 없고 고용량‧고출력”…레독스전지 성능 혁신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유승준 교수는 “레독스 활성 유기분자의
고질
적인 한계인 낮은 용해도를 향상할 수 있게 돼 고용량, 고출력 레독스 전지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자구조의 에너지저장원 개발에도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액체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2023 퓨처 모빌리티상' 시상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보였다. 또한 가스 발생량 및 저항 증가율이 30% 이상 개선됐다. 연구팀은 "전기자동차의
고질
적인 문제점인 안전성 개선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락가락' 기름값...정부가 걷는 유류세 개편해야
2023.03.21
휘발유 평균 판매가 1천600원 육박. 연합뉴스 제공 휘발유·경유 등 기름값에 대한
고질
적인 불신이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국제 원유값이 오르내리기만 하면 어김없이 정유사의 부당한 폭리에 대한 불만이 쏟아져 나온다. ‘기름값이 묘하다’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발언도 그런 현실을 지적한 ... ...
화재‧폭발 위험 낮은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14일 밝혔다. 전고체 전지 소재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면서 탄성변형력을 제고해
고질
적인 계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평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셔널 펑셔널 머터리얼즈'에 지난해 12월 게재됐다. 연구팀은 상온·상압 조건에서 고탄성·고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 소재를 ... ...
임기 끝났는데 자리 지키는 과기 출연연 원장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원장 후보자 접수조차 진행하지 않은 상황이다. 출연연 원장 선임 지연은 과학계
고질
병으로 꼽힌다. 원자력연과 전자통신연 모두 전임 원장 임기 종료 후 새 원장이 선임됐다. 김명준 전자통신연 전 원장과 박원석 원자력연 전 원장 모두 지난해 3월 31일이 임기 만료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韓로봇산업 수요 높지만 글로벌 경쟁력은 주요국 중 최하위"
연합뉴스
l
2022.09.15
대일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율도 24%에 머물러 한국 첨단산업의
고질
적인 약점으로 꼽힌다고 전경련은 평가했다. [전경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한국 로봇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분야는 '기업 간 연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로봇산업협회 조사 결과 기업별로 ... ...
추석 연휴 어르신 건강안부는...팔 올리기 어려우면 '오십견'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09
경우, 어깨 운동 범위의 제한이 악화되고 치료가 힘들어질 수 있다”며 “치료 후에도
고질
적 운동 범위 제한을 남겨 일상생활에 불편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에티오피아 대학과 원자력공학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HP-FAN 구조체를 얻었다. 이를 통해 2차원 고분자를 유기 반도체 재료로 사용했을 때의
고질
적 문제인 '낮은 전하이동도'와 그래핀 반도체의 치명적 한계점인 '낮은 점멸비'를 모두 극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의 자매지인 '켐‘ 30일자에 게재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 ...
인간 뇌 닮은 ‘뉴로모픽’ 컴퓨팅 성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인공뇌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인 ‘멤리스터’ 소자의
고질
적 문제점을 해결해 고성능·고신뢰성 뉴로모픽 컴퓨팅이 가능한 인공 시냅스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멤리스터란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로 소자의 저항값이 일정하지 않고 전압에 따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