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뉴스
"
고안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심항공모빌리티에 쓰일 리튬황전지 상용화 발판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SWCNT)와 산소 작용기를 결합해 리튬폴리설파이드 생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안
했다. 강도와 전기전도성이 높은 SWCNT는 그래핀이 나선형으로 휘감긴 신소재를 말한다. 작용기는 특정한 화학적, 물리적 성질을 갖는 원자 또는 원자들의 모임이다. 산소 작용기는 SWCNT가 전지 내부의 다른 물질에 잘 ... ...
수소 이온 이용해 배터리 양극재 성능·수명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외부의 에너지 공급 없이 금속 산화물 내에 수소 이온을 삽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새롭게
고안
했다. 또 수소 이온을 활용해 재료의 물성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이번 기술 개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과 실효성을 검증했다. 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금속 산화물 수소화 반응의 작동 ... ...
병원균 변종 식별법 찾았다…"감염병 대응 역량 높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사람에게 전염된 뒤 더욱 강력한 변종을 생성한다. 새로운 변종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
됐다. 감염병 대응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헨릭 살예 영국 케임브리지대 유전학과 교수 연구팀은 감염된 사람의 샘플을 기반으로 인간 사회에 돌고 있는 병원균을 실시간으로 ... ...
[과학사극장] 과학계 거장 마이클 패러데이, 수학 못했다?
과학동아
l
2024.12.28
종합적인 이론을 구축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힘 선'과 '장'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고안
했다.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는 전자기 유도 현상은 이러한 거대한 지적 모험의 한 부분이었다. 패러데이는 그의 통합적 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는 훌륭한 ... ...
"의대 증원 2027년부터 해야 합리적…교육 파행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비대위원장은 “각 대학은 의대생을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
해야 한다”며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이월을 중단하거나 대학 입학 전 다양한 경험을 쌓는 갭이어 등으로 학생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고 제안했다 ... ...
겨울철 벼락에 취약한 풍력 발전기 피해 막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이를 통해 블레이드 옆 가장자리에 수뢰부를 최적으로 위치시키는 새로운 설계법을
고안
했다. 이 방식은 정극성 낙뢰의 전하 분포를 제어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점도 확인됐다. 우 선임연구원은 “풍력터빈 블레이드를 대상으로 정극성 낙뢰 대책을 설계하고 실험적 검증에 성공했다”며 ... ...
60년 수학 난제 '소파 움직이기 문제' 국내 20대 수학자가 풀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자신 있게 제시한 소파가 대표적이다. 그는 넓이 2.2074의 전화기 모양의 소파를
고안
해 제시했다. 변의 길이가 각각 1과 4/π인 직사각형에서 반지름 2/π인 반원을 파냈다. 그런 뒤 양쪽에 반지름이 1인 4등분한 원 2개를 붙여서 전화기 모양의 소파를 만들었다. 1992년 미국 수학자 조셉 거버는 ... ...
[과기원NOW] KAIST, 시각장애인 점자 악보 리더기 등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5
체험형 프로젝트가 다수 준비된다.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에서 영감을 받아
고안
한 이정아 학생의 ‘귀가 안심 장치’, 김대욱 학생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점자 악보 리더기’, 오은서 학생의 편두통 체험과 이해를 소개하는 ‘프로토타입 일너스’ 등 디자인과 공학의 ... ...
지름 10m 불과한 초소형 소행성까지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연구팀은 외계 행성 탐색에 사용된 데이터를 재활용해 태양계 소행성을 관측하는 방법을
고안
했다. 연구팀은 같은 방향으로 찍은 이미지를 여러 장 쌓아서 움직이는 희미한 물체를 관측하는 데 유용한 '시프트 앤 스택(shift and stack)' 기법을 적용했다. 소행성이 실제로 예측한 위치에 있는지 ... ...
11월 과학기술인상에 정일문 박사…물공급 소외지역 위한 샌드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물공급 소외지역의 가뭄 해결을 위한 샌드댐 건설 기술을 개발 ... 2022년 6월 게재됐다. 같은 해 9월 국제학술지 ‘물’에 게재됐다. 정일문 본부장이
고안
한 '바이패스형 샌드댐'을 나타낸 모식도. 과기정통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