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DNA
가닥
의 특성을 활용해 다양한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DNA
가닥
이 분자 카고(나노구조나 다른 분자로 기능성 분자를 운반해 특정 부위에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를 집고 이동한 후 내려놓는 과정까지의 모션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바 있다. (doi: 10.1126/science.aan6558) ... ...
머스크 "뉴럴링크, 두 번째 환자 뇌에 칩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BCI 칩. 지름 23mm, 높이 8mm 크기의 원판에 64
가닥
의 실이 붙어 있는 형태다. 실에는 한
가닥
당 16개씩 총 1024개의 전극이 부착돼 있다. 전극은 뇌의 활동을 기록한다. 뉴럴링크 제공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또다른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두 번째 환자의 뇌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 ...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없는 세상, 상상하고 싶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24.07.26
뇌파가 줄어들며 마우스 커서 제어 속도가 크게 감소한 것이다. N1 임플란트 칩은 64
가닥
의 실이 붙어 있고 실에 뇌파를 읽는 전극이 달려있다. 수술 이후 시간이 경과하며 칩의 실 부분이 뇌 바깥으로 빠져나온 것이다. 아르보 씨는 "칩은 두개골에 고정돼 있기 때문에 실의 미묘한 움직임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염기 하나 또는 두 개가 바뀐 치환 시그너처가 71개, 짧은 DNA
가닥
이 끼어 들어갔거나 빠져나간 인델(indel) 시그너처가 18개다. 여기서 시그너처는 암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정 돌연변이의 고유한 패턴을 뜻한다. 보통 암세포는 동시에 여러 시그너처를 지니고 있다. ... ...
배터리·센서 결합 '스마트 섬유', 금속·세라믹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에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얀(yarn)은 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두고 꼬아 만든 긴
가닥
구조다. 기존 스마트 섬유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나노물질을 코팅해 발전시켰다. 새로운 코팅 소재와 구조를 개발해 섬유의 성능을 향상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섬유 재료 자체에 한계가 있어 스마트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췌장암 등의 조기 발병 원인이 된다. 이런 가운데 BRCA2가 결핍된 세포는 텔로미어 '네
가닥
특이 구조(G4)'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해 심각한 텔로미어 손상과 세포노화로 이어진다. 이 교수 연구팀은 일부 세포에서 짧아진 텔로미어가 어떻게 암으로 발전하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은 BRCA2 결핍으로 ... ...
멍게에서 추출한 항암 치료제 원리 찾았다…"암세포 DNA 복구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어떤 메커니즘으로 암세포를 억제하는지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DNA의 단일
가닥
변화까지 미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인 '코멧(COMET) 칩' 실험으로 트라벡테딘의 효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자외선으로 손상된 세포 속 DNA는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NER)' 과정을 거쳐 ... ...
바느질 없이 1분이면 절단 신경 봉합하는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얇은 의료용 봉합사로 신경 외피를 바느질하는 신경봉합술은 숙련된 의사가 해도 신경 1
가닥
마다 1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피부 괴사를 막고 봉합 성공률을 높이려면 최대한 빠른 봉합을 해야 한다. 지금도 조직 접착제가 있지만 인체 신경조직에 사용하기엔 접착력이 낮다. 연구팀은 여러 층으로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적용해 mRNA 분해의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을 찾았다고 28일 밝혔다. mRNA는 긴 단일
가닥
RNA 분자로 DNA에 보관된 유전 정보를 단백질에 전달하는 매개체다. 단백질의 ‘생산 설계도’와 같다고 보면 된다. 가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mRNA 백신은 약 4000개의 RNA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제공 연구자들은 칼슘산소배터리 단위를 실(섬유)의 형태로 만들었다. 탄소나노튜브 몇
가닥
을 감싼 칼슘 금속 음극재를 중심에 두고 그 바깥에 젤 형태인 전해질이 그 바깥에 탄소나노튜브가 양극재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구조다. 이 실을 짜서 천 형태로 만든 배터리는 용량이 커져 휴대전화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