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순환"(으)로 총 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의 종류들기사 l20230302
- 2-1-2. 끝이 있는 유환 소수와 헷갈리는 순환 소수 유환소수는 소수긴 소수인데 끝이 있는 소수입니다. 대표로는 0.001이 있습니다. 순환소수는 끝이 없지만 규칙이 있는 소수입니다. 대표로는 100을 3으로 나눈 3.333333333...등이 있습니다. 2-2. 규칙이 없는 무리수 끝이 없는 수입니다. 그런데 꼭 ...
- 님들 뷔페 가면 초코분수? 그거 먹지 마세요;;포스팅 l20230205
- 앞에 있었는데 뭘하고 있었냐면 그 초코분수 안에 손 넣고 초코 빨아먹고 다시 손 넣는 중이었음;;대부분 아시겠지만 초코분수의 그 초콜릿이 계속 순환한다고 해야하나 그렇게 돌아가는 거라비위 상해서 초코분수 말고 걍 케이크나 과자 좀 먹었던 적이 있네요 진짜.. 초코분수 엔간하면 먹지 ... ...
- 미생물들의 이야기기사 l20230131
- 반응하지 않게 해서 땅을 비옥하게 해 주기도 하고, 네 번째로 유기물과 무기물을 분해하거나 합치고 화학물질을 분해해서 물질들을 순환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또, 다섯 번째로 항생물질, 살충성 단백질, 기생충 포식 등으로 병해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초물질을 생성해 제초를 하는 것도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통해 작물을 더 잘 자 ...
- 마법에 걸린 수?기사 l20230128
- 이런 성질이 나타난 것입니다!쉽게 말하면 7분의 10과 7분의 3의 소수 부분이 같고, 7분의 100과 7분의 2의 소수 부분이 같다는 것을 통해 순환마디가 반복되는 성질을 설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빈치, 이미지 출처 : PIXABAY) 최후의 만찬은 다빈치의 그림으로, 예수가 ...
- 한국은행 화폐방물관 생생후기!!기사 l20230115
- 여러분도 궁금하시지 않나요? 돈을 왜'돈'이라고 부르는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는데 이런 설이 전해지고 있어요 첫째, 화폐의 순환에서 유래되었다 많은사람의 손을거치며 천하를 돌고 돈다는 데서 '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로 민간 어원일것으로 추청되요. 둘째, 한자 '刀(도)'에서 유래되었다 고대에 사용되었던 칼 모양의 화폐 ...
- 화성어차 타고 수원화성 구경기사 l20221113
- (제가 직접찍은 화성어차의 모습입니다.) 제가 탔던 것은 관광형 (40분 동안)이고요, 위 사진 보다 더 크고 창문이 없는 것은 순환형 (20분 동안) 입니다. 화성어차를 타면 멋진 뷰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주변 설명과 편리함 덕분에 좋은 구경을 하였습니다. 수원화성 가면 화성어차 타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제가 직접찍은 사진으로, 화성 ...
- w 폰 뢰센슈타인의 마지막 29자리 나눗셈last division to 29 of w von lössenstein포스팅 l20220925
- 29자리 이하까지는 겉으로 무리수처럼 보인다는것을 알아냈다.이 놀라운 명제에 대해 진짜 몇자리까지 순환마디가 있거나 가는 순환소수 혹은 유한소수인지를 맘만먹으면 소수점100자리까지도 계산할수 있으나,종이는 4장이상이 아깝고,3장까지 썼지만 29자리까지만 계산할수있고 여백이 부족해 자세한 설명과 나눗셈의 몫은 쓰지 않겠다. 20.03 ...
- 제가 시를 한번 지어볼게요포스팅 l20220820
- 때문에 반말 쓴거 양해 부탁드려요 ㅠㅠ 뒤에 요도 붙였습니다제목: 인간의 삶의 순환 지은이: 김하율어느날 내가태어나서 아기가 됐더라아기가 되니까 6살리 됐더라6살이 되니까 잘 놀았다잘 노니까 10살이 됬다10살이 되니까 탐조를 하더라탐조를 하니까 어 ...
- 태평양의 거대한 쓰레기 섬, GPGP기사 l20220723
- 한 곳에 쓰레기가 쌓이게 된 건데 문제는 이런 쓰레기 섬이 태평양 말고도 다른 곳에도 아주 많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해류가 순환하는 곳은 5개인데, 그레서 쓰레기 섬이 5개나 생겼어요. 정말 큰 문제죠? 하지만 쓰레기의 수가 너무나도 많고, 국경의 문제도 있어 특정국가가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그래서 소셜브렌드 업체인 '라 ...
- 공룡을 가장 많이 닮은 새는 누구?! - 화식조기사 l20220619
- 위험해도 꼭 존재해야할 새예요. 앞에서 과일을 먹는다고 설명을 해드렸는데 배설을 할 때 씨앗 째 배설해서 생태계 순환에 도움을 주는 새랍니다! 하지만 요즘 인간들이 데려온 대형견 때문에 피해를 많이 보고 있어요. 2003년부터 개들의 화식조 공격은 24건 정도 발생했고 그 중 37.5%가 성체, 33%가 아성체, 21%가 아기새, 8%가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