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비
미비
불충분
결함
부족
모자람
결핍
어린이과학동아
"
불완전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목포 자연사 박물관 후기
기사
l
20200901
과정을 거치는 것이고
불완전
탈바꿈은 모습은 변하지만 알-애벌레-애벌레-성충의 과정을 거치는 것 이랍니다. 무 탈바꿈은 과정은
불완전
탈바꿈과 같지만 겉모습은 전혀 변함이 없는 것이랍니다. 조금 더 가면 곤충을 박제 해놓은 것 이 있어요. 저는 나비를 박제 했을 때 놀랐아요. 왜냐하면 나비의 날개는 정말 얇은데 어떻게 핀으로 고정을 ...
시민과학풀씨 개미 프로젝트
기사
l
20200703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는 174 여 종이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혼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서 한반도의 개미 종류 목록은
불완전
한 상태라고 합니다. (저희 집 앞 화단에서 발견한 털개미속 개미를 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입니다. 털개미속 개미는 현미경으로 봐야 구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저는 지난 6월 27일 경기도 용인 광교산 근처 ...
고양이 알아보기 3탄! 발리니즈 고양이
기사
l
20200507
고양이가 한때는 외면을 받던 아이였는데요, 사실 발리니즈는 1920년대 태국서 태어났는데 그때 당시에는 미국인들이 이 돌연변이를
불완전
한 샴취급을 받았지만 비로소 1700년대의 국제고양이협회(TICA)에서 또 하나의 품종으로 결정했습니다. 샴과 마찬가지로 오드아이인 고양이도 있어요. 단순 샴의 자연적인 돌연변이라서 샴과 비슷비슷한 부분도 많습니 ...
로고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사
l
20200213
사용할 수 없습니다. 로고타입이나 심벌마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로고나이프- 심벌 분리형과 구분됩니다. 로고타이프만으로
불완전
하여 강조점이나 개성을 둘 때 주로 쓰입니다. 출처: Iogodigger xoxo 4.로고타이프 심벌분리형 로고타이프와 심벌마크가 결합된 형태의 로고로서 로고타이프-심볼 결합형과 달리 각각 단독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 ...
천문대장님과 함께 한 영화, 『천문』의 조선 시대 하늘 과학 이야기
기사
l
20191218
먼저 우리의 옛 조상들은 하늘을 신성 시 하여 하늘은 완벽한 곳, 땅은
불완전
한 곳으로 생각하고 천문 현상을 왕의 권위와 정당성을 확인 받는 곳으로 여겨왔습니다. 조선시대에도 하늘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습니다. 특히 이 시기 세종대왕과 장영실은 가장 많은 연구 업적을 남긴 위대한 인물입니다. 기록 ...
귀신이 실제로 있을까요? 과학자들이 말하는 귀신 이야기!
기사
l
20190826
용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실제로 귀신이 있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 번째로 전자기장 때문입니다.
불완전
한 자기장에 노출된 사람은 측두엽에서 비정상 패턴을 유발시킨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이 사람들이 귀신이 자주 나온다는 곳을 조사해보니 자기장이 강했다고 합니다. 두 번째 이유는 초저주파 때문입니다. 초저주파를 들으면 심리 ...
7월28일 매미탐사
기사
l
20190728
유지라는 이름이 붙어졌다네요. 울음소리도 기름이 타는 듯한 소리가 난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매미는
불완전
변태를 하는데 이런
불완전
변태의 유충을 약충이라 한다는 것도 함께 알려주셨습니다. 매미가 나무를 타고 올라가다 탈피한 사진과 땅에서 나온 구멍 사진입니다. 새로 안 것도 있고 이미 알고 있는 내용도 있었으나 직접 매미 탈피각을 ...
곤충계의 자라, 물자라를 키워보자!
기사
l
20190313
쌍의 날개와 물 속에서 숨을 쉴 수 있게 해주는 '호흡관'이라는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알-애벌래-성충(어른 곤충) 순으로 자라는 '
불완전
탈바꿈'을 하는 곤충입니다. 물자라가 먹이를 사냥하는 방법은 우선 앞다리에 있는 발톱으로 먹이를 잡은 다음, 주둥이에 달린 침으로 먹잇감의 체액을 빨아먹습니다. (육식성 곤충)사람을 물지는 않는다고 하네 ...
이화여대 심화교육을 다녀와서
기사
l
20181008
하지만 현미경으로 보자 그 작던 약충이 커져 눈까지 보였습니다. 그 약충은 새우 같기도 하고 벼룩 같기도 했습니다. 매미는
불완전
변태라서 약충이라고 부르며 전국에서 이것을 볼 수 있는 곳은 유일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먼지 같은 약충 중 단 2%만이 성충이 됩니다. 현미경으로 본 약충 다음으로는 권세라 연구원과 왜래 종 ...
개미탐사를 다녀와서
기사
l
20180912
페르몬으로 개미들을 싸우게 해서 자기들끼리 싸우는 동안 알과 고치를 훔쳐온다니 너무 재미있습니다. 흰개미는 바퀴벌레로
불완전
변태를 합니다. 그래서 알을 낳기 위해서는 숫컷이 계속 필요합니다 반면 여왕 개미들은 한번 짝짓기를하면 평생 알을 낳을 수 있습니다. 한국홍가슴개미는 한국에만 서식합니다. 일본 왕개미,곰개미, 주름개미,노란꼬리 치레개미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