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농사"(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측우기, 장영실이 만든 거 아니다?기사 l20230430
- 출처 : 다음 자 먼저, 측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측우기는 1441년세종 23년에 우리나라의 변덕스러운 날씨 때문에 농사를 망치기 쉬워지자, 강수량을 측정할 필요성이 커져 측우기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측우기는 높이 32㎝, 지름 15㎝가량의 철제 원통이고, 주척의 길이는 약 21㎝입니다. 〈세종실록〉에 측우기라는 이름이 나오며 ...
- [챌린지] 달력이야기 (7/8)기사 l20230430
- 알아봅시다. 우리가 쓰는 달력은 원래 로마에서 사용하던 것이었는데, 로마시대에는 사람들이 3월에 나가서 씨앗을 뿌리고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1년의 마지막 달이 지금처럼 12월이 아니라 2월이었습니다. 1년이 365일이고, 당시에는 2월이 1년 중의 마지막 달이었기 때문에 1년 전체의 날짜수인 365일을 맞추기 위해서 2월은 날짜가 31일 ...
- [챌린지] 만약 인간이 영원히 산다면? (9/8)기사 l20230418
-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활을 유지하고 경제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1인당 4.7ha 가 필요합니다. 농사면적의 37000제곱미터가 필요하죠. 하지만 우리나라가 공급할수 있는 토지는 0.4ha(4000제곱미터)에 불과합니다. 나머지 3.4ha는 외국 토지를 이용하겠죠. 한국은 수입에 의존하게 되는것이죠. 특히나 영원 ...
- [챌린지]식목일은 뭐하는 날이에요?(4/8개)기사 l20230405
- 636년부터 시작됩니다. 그때부터 사람들은 성묘를 가서 벌초를 하기 시작했죠. 그 뒤로도 983년, 고려 성종 때 4월 5일은 왕이 직접 농사를 짓는 '친경의례'라는 날을 만들게 됩니다. 1493년 조선의 성종 역시 직접 밭을 일군 날이 4월 5일입니다. 1910년 조선 순종도 친경의례 중 밭을 갈고 나무도 심었습니다. 어때요? 4월 ...
- 10000 우절에 왜 거짓말을 할까요?!기사 l20230401
- 왜 거짓말을 하는지 아시나요? 모르면 제가 알려드리죠 옛날엔 농사가 매우 중요했습니다. 먹고 사는 수단이었으니까요 때문에 농사일을 시작할 수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에선 지금의 4월 1일을 새해 첫날로 지정했었습니다. (새해부터 일이라니 ㄷㄷ) 그러나 1564년 후부터 샤를9세가 지금의 1월1일을 새해로 지정하면서 전달이 잘 ...
- 희망의 땅 아프리카기사 l20230214
- 해야만 했어요. 2. 현재 아프리카의 고통을 아시나요? 아프리카는 가난과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어요. 왜냐하면 환경이 더워서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아프리카는 물이 부족하여 오염된 물을 먹기 때문에 질병에 걸립니다. 그리고 정치문제와 부족 갈등으로 전쟁이 일어나고 있답니다. 3. 이런 아프리카에도 희망이 없지는 않겠죠 ...
- 정월대보름의 풍속 1.기사 l20230205
- 가지 나물과 함께 보름 명절의 음식으로 삼아왔다. 오곡밥에는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겼다. 농사를 짓는 사람은 농사지은 곡식을 종류별로 모두 넣어서 오곡밥을 지었다. 특히 대보름날에는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 또 그 날 하룻 동안 ...
- 지금 호주는기사 l20230130
- 그러고는 번식을 엄청나게 했죠. 이게 호주 토끼전쟁의 원인 입니다. 에뮤전쟁 원인 에뮤전쟁은 에뮤들이 호주 농부들의 밭에 와서 농사를 망친 것이 원인입니다. 2.토끼전쟁 토끼들은 호주에 온지 7년 만에 2만 마리로 불어났습니다. 그래서 호주 정부는 온갖 시도를 해봤습니다. 덫도 설치해보고, 독을 풀은 음식물을 토끼에게 먹여보고, ...
- 이건 또 뭔 지나가던 개가 웃을 소리지포스팅 l20230124
- 바쳤기 때문이고,고려시대에 많았던 기병대가 조선에는 없었던 이유도 그것을 몽땅 털어서 중국에 바쳤기 때문이에요.조선 지배층은 농사 짓는 데 꼭 필요한 소까지 죄다 쓸어다 바쳤어요.권력을 지키기 위해서는 중국만 잘 섬기면 되니까 500년동안 대외 무역조차 할 필요가 없었죠.외국인들이 고려(KOREA)는 알았어도 조선은 몰랐던 게 그 때문입니다. ...
- 지구야 미안해기사 l20230105
- 1℃가 상승하면 가뭄 발생 수가 증가하고, 그 기간이 길어질 것 입니다. 또 킬리만자로의 만년빙이 사라집니다. 긴 가뭄들로 인해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이어가는 농부 같은 분들은 논,밭과 거주지를 잃고, 물 부족 인구가 5천만 명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지구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몇 생물이 멸종하게 되고 북극의 빙하가 녹는 속도도 너무 빨라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