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감염"(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선천 면역의 세포들기사 l20230804
- MHC 분자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은 그 세포가 암세포이거나, 감염된 세포임을 나타냅니다. 이제 한 가지 새포가 남았는데요, 수지상세포는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으로 이끄는 역활을 합니다. 병원체의 표본을 채집한 뒤, 혈류에서 림프관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면서 림프관 속의 B cell과 표본의 단백질을 2번 결합하면 이제 후천 면역계로 넘어 ...
- 코로롱 2차 감염포스팅 l20230803
- 하...코로롱 2차 감염된 1인입니다... 저는 아주 학창시절을 우리 코로롱 친구랑^^ 보내게 생겼네요 ...
- 더도 아니고 덜도 아니게 적당껏, 면역기사 l20230802
- 대식세포가 제대로된 식을 하지 못하기에 면역계가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건강할 때 잘 일어나지 않던 폐렴등의 세균 감염 또는 감기같은 바이러스로도 쉽개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면역력이 너무 강해서 일어나는 ‘자가면역반응’은 어떤 증상일까요? 대채로 수지상 세포가 우리 몸의 세포으, 표본을 수집해서 우리 몸의 세포에 대한 항체가 ...
- 코로나 19란 바이러스의 출현 과정과 감염기사 l20230802
- 체액과 체액이 접촉합니다. 이제 새로운 바이러스X의 출현입니다. 말씀드린 과정은 실제 니파 바이러스의 출현 과정입니다. 인수공통감염병들은 동물에게서 인간에게 넘어오는 과정에 치사율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과일박쥐가 자연숙주인 에볼라 바이러스는 과일 박쥐에게는 아무런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인간같은 영장류에개는 치사율이 89%에 ...
- [챌린지] 한타바이러스를 발견하고 백신을 개발 한 이호왕 박사님기사 l20230731
- 눈이 출혈되고 몸이 뜨거워지며 온몸에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수 년동안 연구하는 동안 동료 연구원들이 감염되고 온갖 어려움에도 이호왕 박사님과 연구원님들은 열심히 연구하였습니다. 연구 노력 끝에 마침내 1976년, 등줄쥐 폐에서 바이러스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호왕 박사님은 유행성 출혈열 바이러스에 자신의 ...
- 안보리 관련해서 소설 쓰고 있는뎁포스팅 l20230731
- 자동문이 삐삑하더니 곧 열리었다. 그 남자의 이름은 ‘한현철’이였다. 그는질병관리청 안으로 들어갔다. 한현철은 인수공통감염병을 연구하는 직원이였다. 그는 원숭이 사육장에 총 25마리의 원숭이를 A,B,C,D,E에 각각 5마리씩 집어 넣었다. 그는 두꺼운 장갑을 껴서 원숭이들에게 물리지는 않았다. 그러나 성질이 사나운 게잡이원숭이 하나가 그의 옷 ...
- [챌린지] 노벨상 후보에 오른 한국의 파스퇴르, 이호왕 박사님기사 l20230731
- 하지만 들쥐를 잡는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쥐를 잡다가 간첩으로 몰리기도 하고 한 연구원은 쥐에게 물려 유행성출혈열에 감염되기도 하였습니다. 수많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호왕 박사님은 1975년 10월 휴전선 인근 한탄강이 흐르는 동두천 송내리에서 등줄쥐를 3000마리 잡아 폐와 폐장을 연구합니다. 그리고 세계최초로 유행성출혈열의 병원체와 면 ...
- [챌린지]우장춘 박사님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727
- 무의 새로운 품종이에요. 크고 아삭하고 병충해에도 강한 새로운 품종이였죠. 우장춘 박사님은 강원도에서 씨감자가 모두 바이러스에 감염돼 농민들이 굶고 있을 때 씨감자를 개발하셨어요. 그리고 재주도에서는 감귤을, 주한미군에게는 수경재배를, 1958년에는 벼 연구를 하셨어요. 그런데 갑자기 박사님의 어머니가 돌아가셨어요. 하지만 박사님은 일본으로 가 ...
- [챌린지] 우장춘 박사님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230723
- 어머니는 일본인 사카이 나카입니다. 우장춘 박사님은 1845년 8월15일 광복 이후에 일본으로 건너왔습니다. 1.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강원도 감자를 개량했다. 2. 코스모스를 길거리를 아름답게 하는 꽃으로 추천했다. 3. 일본 재래 배추와 양배추를 교배, 한국 환경에 맞는 배추를 개발했다. 4. 제주도 환경에 적합한 감 ...
- (챌린지)이호왕 박사님, 한탄바이러스 첫 발견기사 l20230714
- 매개체로 추정한 연구팀은 휴전선 인근 지역에서 쥐를 잡으러 다녔다고 합니다. 이호왕 박사님을 뺀 연구원 7명이 모두 출혈열에 감염됐으며 일부는 사경을 헤매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이호왕 박사님을 포함한 박사님 모두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목숨까지 걸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박사님들의 태도를 본받아야 합니다. (이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