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ip"(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이유는 뇌에서 찾을 수 있다. 저글링할 때 우리 뇌의 신경계가 혼란에 빠지기 때문이다. tip 저글링의 황금비는 3 : 4!미국의 수학자 피터 비크와 마셜 터베이는 3개, 5개, 7개의 공으로 저글링할 때 저글러들의 손과 공의 움직임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공의 개수와 상관없이 공이 손에 있는 시간과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되지!’하지만 손재주가 만드는 숄은 점점 비뚤어지기 시작했다.“악! 어떻게 하지?!”tip 과학에도 활용된 뜨개질원광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조영삼 교수 연구팀은 지난 4월 뜨개질을 이용한 3차원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을 연구 논문으로 발표했다. 세포지지체는 손상된 장기나 기능을 잃은 피부 ...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다홍치마와 노랑저고리에서 적색과 노란색을 대비시켜 주인공을 부각시킨 것이다. tip 조선 3대 풍속화가, 김득신김득신은 김홍도, 신윤복과 함께 조선 3대 풍속화가 중 한 명이다. 그는 풍속화 외에도 도석화, 산수화, 영모화 등을 잘 그렸는데, 김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그림으로 가장 잘 ... ...
-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큰 볼거리 중 하나는 순위를 다투는 주행과 3~4초 안에 이뤄지는 타이어 교체의 순간이다.tip타이어 교체 타이어를 교체하려면 경기 도중‘피트구역’에 들어서야 한다. 타이어를 교체하는 시간까지 경기 주행 시간에 포함되기 때문에 피트 스탑(피트 구역에 들어가 차가 정지하는 것)의 횟수를 ...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한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폴클랑 졸리스텐이 승승장구하길 바란다.tip폴클랑 졸리스텐의‘피타고라스의 음계’11월 공연일정은 11월 1일 수학동아 홈페이지 (math,dongascience.com) 공지사항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수학동아 l2011년 11호
- 180°를 이룬 뒤 다시 180°를 이루는 데는 항상 1시간 60/11분이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tip11번째 시간‘11번째 시간(The 11th Hour)’은 영화배우로 유명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제작하고 조연으로 참여한 환경 다큐멘터리 영화다. 칸 국제영화제 2007년 특별상영작인 이 영화의 제목은 지구에 남겨진 ... ...
- [수학으로 종이접기] 황금비가 숨어 있는 정오각형 만들기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정오각형 완성! 백문이 불여일견, 다음 순서에 따라 색종이로 정오각형을 만들어 보자. tip한 내각이 36°인 직각삼각형의 또 다른 내각은 54°이고, 54°인 직각삼각형 한 내각을 두 개 모으면 108°, 즉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가 된다(10). 색종이로 만든 정오각형은 내각이 각각 36°, 54°, 90°인 ... ...
- 진실 넷! 행운의 숫자는 없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숫자 조합과거에 1등으로 당첨된 숫자들의 조합❖로또 당첨에서 가장 많이 나온 숫자 tip로또의 공 뽑기, 공정할까?공정한 복권이라면 각 숫자가 뽑힐 확률이 모두 같아야 한다. 로또의 공은 정말 무작위로 뽑힐까? 이점에 의문을 품은 전남대 통계학과 백장선 교수는 ‘검정’ 이라는 수학적인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때문이다. 그 대신 삼각비 중 하나인 탄젠트를 이용해 사탑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tip피사의 또 다른 위인, 갈릴레오 갈릴레이피보나치 외에도 피사에서 태어난 유명한 사람이 또 있는데, 그가 바로 갈릴레오 갈릴레이다. 갈릴레이는 피사의 사탑에서 자유낙하 실험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발생한 경우 체크 숫자가 8/9, 즉 약 88.9%의 비교적 높은 확률로 오류를 알려준다는 뜻이다.tipQR코드는 2차원 바코드검은 줄무늬로 이뤄진 바코드는 선처럼 1차원에 정보를 표현해야 해 정보량이 매우 적다. 반면 평면에 정보를 표현하는 QR코드는 2차원 바코드로 100배나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