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MAN"(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보내는 신호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재미있게 표현한 ‘작은 초록 외계인’(Little Green Man)의 첫글자를 딴 이름이다. 첫번째 LGM을 발견한 달이 끝나갈 무렵 벨은 두번째 LGM을 찾아냈다. 두번째 신호를 발견하자 LGM이 외계 지적생명체의 신호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고 이들 전파원은 새로운 천체임이 ...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이제 제게 얘기를 좀 해주셔야 됩니다. 현재 회사의 상황을 듣고 싶군요. 제조 인력(Man)은 몇 명인가요? 자재(Material)는 무엇을 사용하시죠? 기계(Machine)는 어떤 형태입니까? 제조 방법(Method)은 뭔가요? 아, 이게 디지털 팩토리에서 ‘4M 분석’으로 불리는 것입니다. 새로운 공장을 짓거나 리모델링을 ...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동양에는 사람의 얼굴에서 동물의 형상을 읽어 관상을 보는 ‘물형관상’(物形觀相)이란 것이 있다. 물형관상으로 따지면 고려를 세운 왕건은 용의 얼굴에 호랑이의 턱을 가져 필시 왕이 될 관상이고, 조선의 1대 임금 이성계는 봉황을 닮아 나라를 세울 관상이라고 한다.건국 신화에는 이렇게 얼굴 ...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과학동아 l2006년 09호
- SF TV시리즈다. 이 시리즈는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66년 9월 첫편인 ‘맨 트랩’(The Man Trap)이 미국 NBC 방송을 타면서 시작됐다. 원래 시험 프로그램은 1964년에 제작된 ‘우리’(The Cage)였으나 방송국에서 퇴짜를 놓는 바람에 창고에서 계속 잠자다가 1988년에야 뒤늦게 전파를 타는 기회를 얻었다 ...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과학동아 l2005년 12호
- 논픽션)의 김상돈씨, 인간의 지식과 감정을 데이터화해서 저장하는 상황을 설정한 ‘Hu*man’(시나리오 시놉시스)의 안혜정씨도 상을 받았다. ‘우주류’의 정소연·박도빈, ‘카오스모스’의 석영수씨는 만화부문에서 가작을 받았다. 시상식에서 중편소설과 단편소설 당선자는 각각 1500만원과 70 ... ...
- 와이어드넥스트 2005과학동아 l2005년 08호
- 광고판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미래가 던지는 유쾌한 상상력 - 엔터테인먼트HUMAN PAC-MAN한때 오락실을 풍미한 팩맨을 기억하는가. 게임기 속이 아닌 실생활에서 팩맨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싱가포르대에서 개발됐다. 게이머는 가상현실(VR) 안경을 쓰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동작감지센서, ...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과학동아 l2004년 08호
- 항복을 선언했고, 전쟁은 끝이 났다. 이와 함께 1942년부터 진행된 ‘맨해튼 계획’ (Manhattan Project)도 4년이라는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계획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편지에서 시작됐다. 1939년 여름 그는 롱아일랜드에서 휴가를 즐기고 있었다. 이때 나치에 쫓겨 ...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과학동아 l2004년 06호
-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연구에 몰두했다.‘인간 등정의 발자취’ (The Ascent of Man)는 브로노우스키의 대표작으로, 원시 인류의 진화에서부터 현대 핵물리학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위대한 정신적 흐름을 보여준다. 책의 제목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서나 이 책은 종종 다윈이 쓴‘ 인간의 유래’ (The ... ...
- 최초의 핵실험에서 핵무기 금지협상까지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뒤 벅의 차(Bock’s Car)라고 불린 또다른 B29 폭격기가 코쿠라에 플루토늄 폭탄 뚱뚱이(Fat Man)를 투하하기 위해 떠났다. 그러나 코쿠라 상공에 드리워진 짙은 구름이 천혜의 방공망 역할을 해서 폭격기는 제2 목표였던 나가사키에 폭탄을 투하했다. 비키니섬의 섬광1946년 태평양의 산호섬인 비키니에서 ... ...
- 브로노프스키 '인간 등정의 발자취'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제목은 찰스 다윈의 저작으로 유명한 ‘인류의 유래와 성선택(性選擇)’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1871)에서 유래한 것이다. 당연히 인류 역사에 대한 브로노프스키의 입장은 진보와 희망, 그리고 사랑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인간과 과학에 대한 희망순수 수학자가 역사와 인간, 그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