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협약"(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미래 세대의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만들고 국제 협업도 확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협약이 성사된 데에도 천문연이 오랫동안 NASA와 공동연구를 해 온 경험이 큰 도움이 됐다. 현재 태양 환경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2개 진행 중이고 소행성 관련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심 선임연구원은 ...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파리에서 ‘파리기후협약’을 맺으며 이같은 숙제를 해오기로 약속했습니다. ‘파리기후협약’은 지구의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기온과 비교해 1.5℃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걸 목표로 합니다. 이런 목표를 이루기에 2030년까지 온실기체 감축 계획이 충분한지 세계 각국의 2030 NDC를 ... ...
- [특집] COP26 어린이가 감시하자! 다음 숙제는 무엇?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받은 2030 NDC 숙제를 1년 뒤에 다시 검사하자는 결정을 내렸어요. 이를 포함해 파리기후협약을 지키기 위한 또다른 숙제가 한아름 생겼습니다. 어떤 숙제일까요? 검사해야 할 숙제2022년 11월까지2030 NDC 다시 해오기 세계 각국은 2030 NDC를 다시 정해오기로 했습니다. 기한은 올해 11월 7일 COP27이 ... ...
- [가상 인터뷰] 프레온가스 물럿거라~, 지구온난화를 막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파괴하는 물질로 지적받았거든. 1987년 9월 16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채택된 기후 협약인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르면 앞으로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다른 대체재를 개발하자고 약속했어. 여기에 우리나라를 포함해 197개 국가가 서명했지. 그 약속이 효과가 있었어?응. 몬트리올 ... ...
- [특집] 색채연구소 지구를 위한 색깔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하지만 곧 새로운 문제에 부딪혔습니다. 바로 폐수 문제예요.‘기후변화에 관한 UN 기본협약(UNFCCC)’은 전 세계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약 20%는 패션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고 2018년 발표했어요. 특히 섬유를 염료에 담가 색을 입히고 헹구는 염색에 어마어마한 물과 화학 물질이 사용됐지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온라인에선 다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지 않고 차별하는 일이 종종 일어나요. UN 아동권리협약 같은, 세계 시민이 보장하는 어린이의 권리가 온라인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 일도 많아요. 노인, 장애인들은 디지털 이용에서 종종 소외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우리가 사는 디지털 세계를 잘 만들기 ... ...
- [할 말 있어요!] 사육곰 두 마리가 농장에서 탈출했다? 어린 사육곰이 세상을 떠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응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반달가슴곰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이에요.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은 멸종위기종을 사고파는 거래를 엄격히 금지하며 반달가슴곰의 모든 아종●을 보호해야 한다고 규정해요. 하지만 한국의 법은 토종곰인 ‘우수리종’만 보호한다고 규정하지요. 사육곰들도 ... ...
- [특집] 고기잡이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안건이라, 앞으로 계속 늘어날 거예요. 예를 들어, 올해 10월 중국에서 개최될 생물다양성협약 회의에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30%의 바다를 보호구역으로 만들자는 목표를 논의하기로 되어 있어요.우리나라는 세계 5대 원양 어업 국가로, 원양 어업에 피해를 미치는 해양 보호에 소극적이에요. 하지만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 어린이의 권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아동권리협약을 읽어봅시다. 나의 디지털 미디어 생활을 돌아보고, 아동권리협약이 적용된다면, 나는 어떤 권리를 보장받아야 할지 디지털 세계의 어린이 권리에 대해 기자단-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뜨거운 국제 분쟁 해결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반대했습니다. 결국 배나 비행기로 바다에 오염물질을 버릴 수 없는 국제조약(런던협약)을 만들었죠. 자국 연안에 방사성 물질을 방류하는 건 별도의 규정이 없다는 빈틈에 이번에 일본이 바다로 내보내는 오염수는 137만t입니다. 특히 방류 계획에 총량 제한이 없다는 점이 심각한 문제라고 봅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