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단"(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궤도에 내려놓는 임무를 맡았다. 라이트세일 2호는 무게 5kg에 작은 가방만 한 크기로, 하단에는 돛과 4개의 활대가 말린 상태로 들어 있다. 라이트세일 2호의 핵심인 돛은 카세트 녹음테이프에 사용되는 필름인 마일러(Mylar)로 만들어졌는데,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수cm 간격으로 나일론 소재인 ... ...
- [수학미술관]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 그림은 컴퓨터로, 서명은 수학식으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수두룩한데 상대적으로 적은 액수로 낙찰된 이 그림이 왜 화제가 됐냐고요?작품 하단에 수학 수식을 서명으로 남긴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 그림을 그린 오비어스는 AI 화가입니다. 오비어스는 기계학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휴고 카셀 듀레를 비롯한 세 명의 연구원이 주축인 단체입니다.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약 1cm2 크기로, 약 64~100mm2 면적의 지문을 1.5초 이내로 읽어들인다. 흔히 스마트폰 화면의 하단부에 장착하기 때문에 이 부위에 손가락을 대야 인식이 가능하다. 박 책임연구원은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의 가장 큰 장점은 보안”이라며 “초음파는 세기를 조절하면 피부 내부까지 침투할 수 있기 ... ...
- 특명! 태풍을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태풍의 강도와 풍속을 계산하고, 매시간 태풍의 경로를 예측해요. 이 정보는 홈페이지(하단 QR 코드 참조)를 통해서 공개되며, 태풍을 클릭하면 태풍의 예상 경로와 함께 풍속 예측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답니다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깥쪽은 1400도에 이를 만큼 부위에 따라 온도 차이가 크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불꽃 하단부에서 상층부로 갈수록 나노 다이아몬드 입자 수가 많아지고, 크기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다이아몬드는 금세 모습을 감춰버린다. 저우 교수는 “1분에 1억 개에 가까운 나노 ...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 경우에서처럼 비교적 기온이 높은 기류가 들어오면 역전층이 생기면서 대기 상단과 하단이 섞이지 못하고 정체 현상을 빚는다. 즉, 대기가 정체되는 고도 이하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이 지표면 가까이에 축적되는 셈이다. 이날 대기 혼합고도는 약 503m로 관악산(629m)보다도 낮았다. 서울시 ... ...
- [Tech] 기계식 키보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아무래도 가볍고 중간에 걸리는 것이 없는 스위치가 유리하겠죠. 실제로 걸쇠가 하단에 닿는 거리, 걸쇠 접합부의 재질, 스프링의 압력 등을 조절해 입력 스피드를 높인 다양한 스위치들이 개발돼 있습니다. 스위치를 투명하게 만든 것도 다 이유가 있더군요. 내부엔 발광다이오드(LED)가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유는 또 있다. 로켓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으로 평가받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바로 하단의 1단 로켓을 재활용하는 기술이다. 팰컨헤비의 발사체 3기 가운데 중앙의 코어로켓은 새로 제작했지만, 양 옆의 사이드로켓 2기는 재활용 발사체다. 팰컨헤비는 이륙 2분 33초 뒤 사이드로켓을 분리했고,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사진을 지우자 ‘보관자료’라는 압축 파일이 나타났습니다(그림➊). 또 이력서 하단에 ‘경애!!’라는 글자를 흰색으로 적어놔 보이지 않았다는 것도 알아냈습니다(그림➋). 압축 파일을 열자 그 안에는 사업계획, 직원관리 같은 기업 운영과 관련된 각종 파일과 함께 이미지 파일 안에 데이터를 ... ...
- [Career] ‘비움의 미학’ 실현하는 3D 프린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분석했다. 그 중 하나가 작업용 차량의 좌석이다. 시트나 등받이 외에도 좌석을 지탱하는 하단 부분이 둔탁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좌석의 모든 부위가 사람의 체중을 싣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물리적으로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하게 생략해 사람의 뼈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