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주
대설
d라이브러리
"
폭설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접근하는 내내 바다를 지나 수증기를 잔뜩 머금고 있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덕분에
폭설
등 재난에 대비하는 소방방재청에서는 눈이 5cm정도 올 경우에 대비해 재난을 대비한다.함박눈이 잘 뭉쳐지는 이유는?즐거움과 재난을 동시에 주는 눈이지만 사실 아주 간단한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화학식 ... ...
'마의'처럼 말과 교감하는게 중요해요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과목인 ‘마학’은 말의 역사와 품종은 물론 말의 특성과 관리까지 다양하게 다룬다.
폭설
의 흔적이 여전한 12월 중순 서울대 교정에서 한 교수를 만났다.“한국도 이제 말 산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어요. 고국에 말 의학도 알리고, 함께 개척하고 싶어서 왔습니다. 말에 관심 있는 학생들도 잘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중심으로
폭설
이 쏟아졌다. 꽁꽁 얼어붙은 도로 제설제로 녹인다지구온난화로 점점
폭설
이 심해진다는 말을 듣고 걱정이 됐어요. 솜이 얼굴이 어두워지는 걸 본 아빠는 너무 걱정하지 말라며 솜이 어깨를 토닥였어요.“눈이 많아지는 만큼 제설 기술도 발전한단다. 혹시 친환경 제설제라고 들어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동아시아, 유럽 등 남쪽으로 내려온다. 이 때문에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우리나라에
폭설
과 한파가 찾아올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이처럼 지구 온난화 문제는 극지방뿐만 아니라 우리 삶과도 직결돼 있다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대기가 냉각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분과 열을 대기와 주변 지역으로 공급해
폭설
을 낳을 가능성도 높다. 결과적으로 북극 해빙의 감소는 당분간 여름에는 지구온난화를 부추기고, 가을부터 겨울까지는 북반구에 한파를 일으켜 계절적인 기온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온난화가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고지대에 사는 동물로 바위가 많은 곳에 서식한다. 1964년과 1965년 강원도 지역에 내린
폭설
로 먹이를 찾아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내려온 산양이 약 3000마리나 잡힐 정도로 많았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1968년 멸종위기 종으로 분류돼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지만 불법포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 ...
수학동아 VS 지베안 드가 진짜 캠핑의 달인은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텐트 구조다. 반투명 재질의 막은 강철 케이블과 매우 강하게 연결돼 있어 강한 바람과
폭설
에도 견딜 수 있다.대결 3 안전하게 해먹을 설치하라!“이번 대결은 해먹을 안전하게 설치하는 대결입니다! 지난 5월 특집 에서 매듭이론을 배운 바로 저, 장 기자가 제격이죠.”“흥! 매듭이론?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벌레 떼만 쫒고 있어요. 전염병이에요. 날씨도 엉망이에요. 허리케인 같은 돌풍에 폭우,
폭설
까지 자연이 인류를 괴롭히고 있어요. 게다가 동물들이 거의 보이지 않아요!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꿈 속에서 인류와 전 왜 이렇게 고통받고 있는 걸까요?지구의 증상은?흠…. 진찰을 해 보니 꿈이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제트(상층제트)에 집중됐다. 이 상층제트는 겨울철에 강해져 한반도 이북까지 남하하면
폭설
과 한파를 몰고 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상청 예보기술팀에서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70개 호우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하층제트의 중요성이 새로 보인다. 기상청은 6개의 호우모델을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상도가 증가하면 태풍 중심 부근의 강풍과 강우대, 뇌전과 돌풍을 동반한 집중호우,
폭설
등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위험기상 현상들의 예측 정확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예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모델에는 레이더 자료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레이더는 5~10분마다 한 번씩 3차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