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착"(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건축이 예술이 되는 순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람이 지어 올린 건축물이 예술 작품으로 승화됐다. 쉽게 포착하기 어려운 구도로 사진 속에 담긴 건축물은 이질적인 동시에 상상력을 자극한다. IPA(International Photography Awards)는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사진전이다. IPA가 10월 발표한 건축 부문 우승작의 일부를 소개한다.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가지고 아이디어를 내서 우리 삶에 도움을 주는 발명품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이 포착한 발명 아이디어의 순간을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차량 사고로 억울한 피해자가 생기지 않았으면 합니다.” 국지성 송강고등학교 2학년 학생은 지난해 12월 ‘한문철 TV’에서 강릉의 급발진 의심 사건을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벌어지는 일을 ‘순간포착’할 새로운 도구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수상했다. 순간 포착은 아토초(100경분의1초)단위로 빛의 파동을 발생시킴으로 가능했다. 2023년 노벨상 수상자들이 수십년 전 연구의 첫 발을 떼고 인류에 공헌하기까지, 그 위대한 여정을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살펴봤다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단축하면 아주 빠르게 벌어지는 현상인 원자나 분자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가 1987년 적외선 레이저를 불활성 기체에 투과시킬 때 발견한 현상부터 시작됐다. 불활성 기체 실험 결과 다양한 빛의 광파가 발생했는데, 이 광파는 ... ...
-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포말하우트(위). 궤도에 행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흰색). 하지만 2017년 ALMA가 포착한 포말하우트(아래)의 사진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행성을 찾지 못했다. 용어 설명*ALMA :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 망원경 집합체. 총 66개의 전파 망원경이 우주를 관찰한다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캐낼 수만 있으면 수학적 대상이 되는 것 같아요. 그렇다면 보이지 않는 것, 감각으로 잘 포착하기 어려운 것도 수학적 대상인가요? 수학자 : 예리한 질문인데요. 수학에서는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대상도 다뤄요. 숫자야말로 대표적인 추상적 대상이에요. 우리가 1, 2, 3을 자연스럽게 세고 다루지만,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빛을 생성하고 측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3인의 과학자,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물리학과 교수,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원자물리학과 교수, 그리고 페렌츠 크라우스 독일 뮌헨대 물리학과 교수에게 주어졌다. 아토초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늘을 관측했다. 그리고 한쪽 구석에서 아주 길고 둥글게 비친 중력렌즈의 허상을 포착했다. 이 허상은 둥근 지구의 지평선 위로 햇빛이 떠오르는 모습과 비슷해, 선라이즈 아크(Sunrise arc)라고도 불린다. 훨씬 먼 배경에 있는 은하의 빛이 극단적인 중력렌즈로 확대되며 만들어진 허상이다. 이 빛은 ... ...
-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삼키기 직전의 모습은 이전에도 관측됐어요. 하지만 별이 행성을 삼키고 있는 모습을 포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키샬레이 드 연구원은 “50억 년 후 수명을 다한 태양이 급격하게 팽창해 적색거성 단계에 이르렀을 때 이처럼 지구를 집어 삼킬 것”이라고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빛으로만 빛나는 천체를 찾았다. 그 결과 ‘허블-다크(Hubble-dark)’ 은하 26개가 새롭게 포착됐다. 모두 우주의 나이가 빅뱅 이후 10억~30억 년 정도 지났을 때 존재한 초기의 은하들이다. 이 허블-다크 은하들 중 12개가 특히 흥미로운데, 모두 거의 옆으로 누운 방향을 보이는 원반 은하들이다. 100억 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