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토대"(으)로 총 1,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입자를 많이 발견한 것은 물론 이 입자들이 이상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토대로 기본 입자가 끈 형태를 띠고 있다고 가정했더니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등가원리 : 중력과 가속도에 의한 관성력은 구분할 수 없다는 원리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질량이 없는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고군분투하는 끔찍한 나날로 내몰았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실패였어요. 수학의 토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만들었던 공리에서 문제점이 계속 발견됐고, 게다가 구축한 체계가 너무 복잡해져 러셀도 이해하기 어려울 지경이었거든요. 급기야 러셀은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내에 있다면 연구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T2T 컨소시엄 연구팀은 8%의 틈을 메운 연구를 토대로 최신 참조 유전체인 ‘T2T-CHM13’을 발표했다. 생물학자들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더 정확한 지도가 주어진 셈이다. 05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유전자를 찾아 2003년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의 끝이자,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업에선 처음에 학생들에게 영문 논문만 나눠줍니다. 논문들을 읽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더 연구할 분야가 있을지, 있다면 어떤 분야일지 등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발표합니다. 이런 과정을 3주 정도 진행하면 논문을 근거로 더 연구할 영역을 자연스럽게 학생 스스로 찾게 되죠. 영재는 남보다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증명하는 연역적 체계를 만들었어요. 이 책이 오랫동안 사람의 수학적 지식의 토대를 이루면서, 이 책을 배운 사람이라면 누구나 에우클레이데스가 제시하는 증명에 매료되고 그 방식에 익숙해졌을 거예요. 다른 이유는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은 여러 수학적 진리를 증명으로 설득해냈기 때문입니다.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글을 싣기도 하고, 이번처럼 제보해 주신 기사 아이템을 토대로 기자가 발로 뛰며 기사를 완성하기도 할 계획입니다. 혼자 궁금해하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 유니버스에 공유해 주세요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지적 호기심을 추구한다면 그건 단지 상상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 인류는 수학과 물리를 토대로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에 따르면 빅뱅이 있었고, 이후 별이 태어났다. 핵융합이나 별의 죽음 과정에서 더 무거운 다양한 원소가 만들어져 우주 공간에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어떻게 읽어야 할까.런던 지하철 노선도의 경우 각 노선에 패턴을 부여해 이 패턴을 토대로 노선을 구분하도록 만들었다. 그런데 권 팀장이 실제 색약자에게 패턴으로 구분된 노선도를 보여줬더니 “오히려 더 복잡하다”는 답이 돌아왔다.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정보량에는 한계가 있어요. 현재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 같이 짚었다. 그는 이어 이번 개정판의 특징들을 소개했다. “우선 최근 관측 자료를 토대로 별에 관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수정했습니다. 이와 함께 각 부의 시작엔 계절의 주요 별자리들이 등장하는 이야기와 일러스트를 추가했죠. 여러 별자리를 연결해서 기억할 수 있게요. ... ...
- [과학뉴스] 또다시 어긋난 뮤온 g-2 실험 결과 표준모형 너머 미지의 이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공동연구팀은 2018년 4월부터 뮤온 g-2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 측정된 첫 해 자료를 토대로 2021년 4월 2.0033184122라는 g 값이 발표되면서, 표준모형에 어긋나는 실험결과에 전 세계가 떠들썩했다. 지난 8월 10일 발표된 연구는 2019년과 2020년 두 해간 진행된 실험을 분석한 것으로, 이전 실험보다 4배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