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구내
campus
덩크로우프로
켐퍼스
캠퍼쓰
켐퍼쓰
d라이브러리
"
캠퍼스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외계인과 수다 떠는 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알아보기 위해 지금은 시험 연구를 하고 있어요. 연구에 참여하는 연세대학교 서울
캠퍼스
에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전파망원경이 있는데요. 높은 산 위에 설치된 이 망원경은 지름이 21m로 어마어마하게 크답니다. 울산과 제주에 있는 것까지 총 3개의 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전파를 ... ...
“진리를 향한 어둡고 긴 골목길에 전구를 달고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맑게 웃는다’고 생각하게 될 줄은 몰랐다. 3월 7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지
캠퍼스
의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야니스 세메르치디스 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장을 만났다. 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은 액시온을 단독으로 연구하는 세계최초의 연구센터다. 액시온은 최근 1 ... ...
[20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알아내고 싶어 했지요. 그러던 2015년 쑨 교수는 천슈슝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캠퍼스
교수와 필즈상 수상자인 사이먼 도널드슨 영국 임페리어칼리지 런던 교수와 함께 그 해답을 찾았어요. 해결의 실마리는 켈러 다양체가 안정적인지를 나타내는 ‘K-안정성’이었어요. 그간 수학자들은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➋] “재미있는 수학자로 기억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IMO)에서 만점을 받은 것으로 유명한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UC 버클리) 수학과 교수입니다. 2022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세계수학자대회(ICM)에 초청 강연자로 선정된 신 교수님을 1월 12일 서울 고등과학원에서 만났습니다. Q 교수님께서 본격적으로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된 게 ... ...
[기획] 눈치 싸움에서 찾은 내시 균형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치고 나가는 전략을 많이 써. 2020년 일본 시즈오카대학교와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
캠퍼스
수학과 연구팀은 이런 전략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016~2018년에 열린 국제대회의 매스스타트 경기 결과를 분석했어. 그 결과 선수가 경기 도중 공기 저항을 직접 받은 시간이 ... ...
[2022 필즈상 예측] 줄곧 탄탄대로 달려온 루마니아 출신 천재 수학자 기호 3. 아나 카라이아니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교수와 같은 지도교수 아래에서 연구했던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수학과 교수는 “미로와 같은 문제 속에서 방법을 찾아내고 응용하기까지 했다”며, “2020년 유럽수학회상 등 많은 상을 받을 정도로 정수론 분야에서 크게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즈상 수상 여부와 ... ...
[단짠코딩] 조건문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필자소개 하상우, 최지현, 박진영멋쟁이사자처럼의 고려대 세종
캠퍼스
동아리 운영진으로 활동 중이며, 세종시 예비 청년창업가들의 아이템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matt7003@korea.ac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또, 어떤 점에서 ‘숙제 검사’라 할 수 있는 걸까요? COP26 회의장인 ‘스코티시 이벤트
캠퍼스
’에 나타난 꼭두각시 인형과 섬나라 주민의 이야기를 통해 COP26의 의미를 짚어봐요. ‘꼭두각시 인형’이 유럽을 횡단한 이유11월 9일(현지 시간), 키 3.5m의 꼭두각시 인형 ‘리틀 아말’이 COP26 ... ...
[4컷 만화]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에 전기가 모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끝에 감싼 채 잠만 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지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나노엔지니어링학과의 조셉 왕 교수팀은 이같은 내용의 연구를 7월 13일 발표했어요.이전까지 개발된 웨어러블 발전기는 착용자가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햇빛과 온도 변화 같은 외부 환경으로 전기를 ... ...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가 동시에 깜빡깜빡하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본 거라고 생각했지. 잘못 본 게 아니었던 거야?응. 7월 7일,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
캠퍼스
바이오프런티어 연구소의 물리학자인 오릿 펠레그 교수팀은 반딧불이가 동시에 불빛을 내는 과정을 연구해 발표했어. 연구팀은 2020년 6월에 그레이트스모키 산맥으로 가서 반딧불이 종인 ‘포티누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