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첫째"(으)로 총 1,4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버 삼남매의 벽돌집 짓기 ⓶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벽돌 묶음을 가져다 차곡차곡 벽을 쌓았어. 첫째 언니네 집은 무사히 완성! 이제 둘째 오빠의 집을 지을 차례야. 어라! 불량 벽돌이 있잖아? 이런, 이미 다른 벽돌이랑 같이 묶어버렸는데 어떻게 하지? 내가 고민하고 있을 때 오빠가 말했어. “막내야, 그럴 땐 벽돌 묶음을 풀면 돼! 꽁꽁 묶었던 벽돌 ... ...
- 수학자와 수학 교사 부부는 자녀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유재석’, ‘궁동 유재석’ 어때? Q. 자녀들을 선행학습 학원에 보낸 적 있나요? 엄마 첫째는 초등학교 6학년 때까지 수학 학원에 안 보냈어요. 하루에 얼마나 문제집을 풀었는지만 확인했어요. 교육 단계에 맞춰 수학을 차근차근 배웠으면 했어요.아빠 선행학습엔 장단점이 있어요. 당연히 미리 ... ...
- 비버 삼남매의 벽돌집 짓기 ⓷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묶어주고, 풀어서 빼고! 알고 나니 쉬운걸? 하하, 이제 벽돌을 묶고 푸는 건 자신 있다고!첫째 언니랑 둘째 오빠가 미소를 지으며 내게 다가왔어. “막내야, 벽돌을 묶기도 하고 풀기도 하는 것처럼 수를 더하거나 빼는 방법을 알면 집 짓는 게 훨씬 쉬워진단다.” “수도 벽돌처럼 묶었다, 풀었다 ... ...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코너로 전국의 청취자들과도 만나고 있다. 이런 나의 요즘 목표는 네 가지다. 첫째는 과학 발명을 좋아하는 1000명의 학생들을 매년 만나는 것이다. 2022년엔 700명 정도의 초·중·고교 학생들을 만났다. 주말마다 전국의 도서벽지를 돌며 과학과 발명을 사랑하는 학생들에게 수업을 하고, 꿈에 대해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새로운 분야를 탐험하는 물리학자의 삶 하버드대에서는 크게 세 가지 경험을 했다. 첫째는 강의. 가르치는 일은 언제나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였고, 영어를 익히는 데도 큰 도움이 됐다. 둘째는 연구. 무선통신 이론과 당시 갓 부상한 사물인터넷(loT) 기술을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취업. 몇몇 ... ...
- [빅잼] 여러분의 인류세를 SF로 보여주세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르는 원래 자신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 너무나 힘들었다. ‘엄마 아빠는 첫째인 나보다 둘째인 레이즐에게 특별함을 먼저 맛보게 해주려고 했다니…’ 이르는 생각할수록 자신의 존재가 너무 하찮게 느껴졌다. 어느새 이르의 눈에서 눈물이 흘러 볼을 적셨다.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인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아무 근거가 없는 낭설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확실한 사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첫째, 이휘소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입자물리학자였다. 둘째, 그는 한창 촉망받던 40대 초반의 나이에 불의의 사고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셋째, 이휘소의 때 이른 죽음을 국내외 많은 이들이 안타깝게 여겼다. 반면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안타깝게도 이 이야기가 진실일 가능성은 아주 낮다. 거짓이라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탑에서의 낙하 실험은 갈릴레이의 독창적인 실험이 아니다. 무게가 다른 두 공이 비슷하게 떨어진다는 주장은 이미 약 1000년 전부터 제기돼 왔다. 피사의 사탑 실험도 이미 16세기, 네덜란드의 수학자이자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만든 길 차세대 쇄빙선이 걷는다 흔히 둘째는 첫째보다 키우기가 쉽다고 한다. 첫째를 낳아 기르며 좌충우돌 발생하는 일들이 경험이 되기 때문이다. 극지연과 KRISO에게 둘째인 차세대 쇄빙연구선도 그렇다. 빙해수조는 2009년 준공됐다. 북극이 수에즈운하보다 훨씬 효율적인 항로로 각광받기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유가 뭘까. 학계에서는 사회적 일부일처제가 진화한 이유로 여러 가설을 제시한다. 첫째는 공동육아 가설이다. 암수 모두 양육에 참여해 효율적으로 육아를 하기 위해 일부일처제를 택한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수컷이 다수의 암컷에게 필요한 영역을 방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부일처제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