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용해 나타낸 태양 흑점 주위 자기장의 시뮬레이션 이미지다. 흑점은 대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태양 표면의 영역이다. 흑점 주위에 펼쳐진 자기장이 이글거리는 불꽃처럼 선명하다. 연구팀은 흑점 주위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가로 약 5만 km,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최댓값은 25!이니 최소 2300은 따져봐야 합니다. 이는 약 1.313×1065 정도 됩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R(4,6)의 하한은 36입니다(하한은 구하려는 값의 낮은 쪽 경곗값을 뜻합니다). 아까의 방식대로 계산하면 1.197×10148로, 149자릿수의 경우의 수를 점검해야 합니다. 따라서, 컴퓨팅 기술이 발전해서 하한이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유명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그러한 이야기가 뉴턴 당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뉴턴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했기 때문이다. 르네상스 시기 그림에선 사과를 들고 있는 아기 예수가 종종 등장한다. 선악과를 따먹어 원죄를 지은 인간의 구원자로서 예수를 상징하는 그림들이다. 이러한 문화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묘하게 마음이 동하지 않았다.“이상한 말인데, 나는 그런 곳에 가도 엄청나게 행복해지지는 않을 것 같아. 시간 여행은 언제로 가는 건데?” “아주 옛날이나 모르는 시대로 가고 싶어 하는 사람은 의외로 별로 없어. 보통은 좋았던 때로 돌아가고 싶어하지. 몇 년 전이나 어릴 적으로좋았던 시간을 ... ...
- 소수 오디세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보다 크고,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다른 수로는 나눠지지 않는 수, 소수(素數근본이 되는 수)다.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학 수업에서 소인수분해를 배울 때 등장하는 소수를 그저 스쳐가는 사소한 수로 아는 사람도 많겠지만, 실은 수천 년 동안 수많은 수학자를 울고 웃게 만든 ‘마성의 수’다 ...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치며, 2를 뺀 2의 배수 모두를 삭제한다. 남아 있는 수 중 아직 동그라미가 그려지지 않은 가장 작은 수를 찾아 동그라미를 치고, 그 수의 2배, 3배, 4배…가 되는 수를 모두 지운다. 이 작업을 계속 반복한다고 생각해보자. 결국 마지막에는 2, 3, 5, 7, 11, …처럼 소수만 남을 것이다. 이게 바로 ... ...
- [이달의 과학사] 1861년 1월 15일, 승객을 위한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팽팽할 때는 반으로 접혀 있다가, 밧줄이 끊어지거나 느슨해지면 펼쳐져요. 펼쳐진 지지대는 톱니 모양의 벽에 걸쳐지고, 엘리베이터는 한 번에 추락하지 않고 적정 위치에서 멈출 수 있었습니다. 오티스가 만든 엘리베이터는 1861년 1월 15일 특허 승인을 받았어요. 이후 사람들은 엘리베이터를 ... ...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보며 억지로 뜻을 암기해 본 적 있나요? 잘 외워지지도 않고, 뜻이 완벽하게 이해되지 않아 속담 공부가 지루하게만 느껴졌을 거예요. 은 단순히 속담을 알려 주는 데서 끝나지 않아요. 속담의 뜻이 무엇인지 만화로 친숙하게 알려 주고, 나만의 표현으로 직접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 2047이고, 2047은 23 × 89 로 소인수분해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메르센은 n이 257과 같거나 작을 때, 즉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만 소수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 또한 틀린 것으로 결론이 났다. n이 67 또는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안타깝게도 가정부가 리만의 연구 자료를 불태워 버리는 바람에 연구 기록이 많이 전해지지는 않는다. 6쪽 짜리 논문에서 시작된 리만 가설 리만이 이름을 날린 건 1859년 발표한 ‘특정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라는 6쪽의 짧은 논문이다. 베를린 학술원에 가입하기 위해 학술원 ... ...
이전12345678 다음